여당 카르티스모계 선거관리위 장악... 한국 기업 문제제기에 "악의적 지연 의도" 비난

파라과이 매체 라폴리티카온라인은 "전자투표기 입찰 서류 개봉이 이번 주 12일로 예정됐으나 새로운 공지가 있을 때까지 연기됐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지금까지 입찰 과정에서 입찰 기준과 조건에 관한 불법적 방향 설정 시도 관련 6건의 불만이 제기됐다.
파라과이 선거재판고등법원은 다음 선거를 위해 2만 5000~3만 대의 전자투표기 확보 계획을 세웠다. 이는 차질 없는 선거 진행과 적절한 사용자 교육을 위한 충분한 수량이다.
선거재판고등법원 정치자금 담당 이사 크리스티안 루이즈 디아즈는 "한국 기업이 입찰 과정에 ITTI와 Technoma 같은 대통령 관련 기업들을 특별히 선호하도록 설계된 불공정한 조건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것은 악의적이거나 과정을 지연시키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업체들 간 무역 전쟁 한가운데 있다. 경쟁 기업들이 서로를 공격하기 위해 언론사나 소셜 미디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고용하거나 활용한다"며 "우리는 이에 휘말리지 않고 공공조달국과 협력해 우리 입찰 조건이 오직 기관, 민주주의, 국가 이익에만 부합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야당은 입찰 과정의 불법성과 여당 카르티스모계의 개입을 우려하고 있다. 전 상원의원이자 현 아르놀도 비엔스 선거 캠프장인 아르날도 프랑코는 "전자투표함 입찰 과정에 강력한 정치적 개입이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말했다.
프랑코는 "국민 투표권은 침해할 수 없는 근본적 권리"라며 "특정 기관의 입찰을 몰아주려 한다는 이야기가 나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입찰 중단 상황에서 카르티스모계와 그 동맹 세력은 전자투표기 통제위원회 장악에 성공했다. 위원회 대표로 아르날도 사마니에고가 선출됐고, 오스카르 살로몬, 후안 카를로스 갈라베르나 등이 위원으로 임명됐다. 야당 측 인사는 소수에 그쳤지만, 여당인 오노르 콜로라도는 일부 자리를 반체제 세력에 양보했다.
이 위원회는 여당 카르티스모계 대표인 나탈리시오 체이스의 제안으로 2026년으로 예정된 다음 지방선거를 앞두고 통제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에 회의를 열기로 했다.
한편, 파라과이는 2019년 법률 제6318호를 통해 선거법을 바꿔 다수직 선거에 폐쇄형, 개방형, 비례대표제 방식의 명부제를 도입했다. 이 새로운 제도는 2021년 지방선거, 2022년 동시 예비선거의 일부 정당, 그리고 2023년 총선에서 처음 적용됐다. 해당 법률은 또한 전자투표기 사용을 명시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