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하우메아 오프쇼어, 무히바·MMHE에 수백억대 중재 제기…말레이시아 해양플랜트 분쟁 재연

글로벌이코노믹

하우메아 오프쇼어, 무히바·MMHE에 수백억대 중재 제기…말레이시아 해양플랜트 분쟁 재연

무히바·MMHE, 동종업체 하우메아 오프쇼어로부터 중재 통지서 접수
예타군·보코르 프로젝트 하도급 계약 관련 미지급 대금 청구
보코르 3단계 중앙처리 플랫폼이 2020년 8월 MMHE에서 출항하고 있다. 사진=MMHE이미지 확대보기
보코르 3단계 중앙처리 플랫폼이 2020년 8월 MMHE에서 출항하고 있다. 사진=MMHE

말레이시아 해양 및 해상 계약업체 업계에 오랜 기간 잠잠했던 대형 소송전이 다시 시작됐다고 업스트림 온라인(Upstreamonline)이 지난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해양 엔지니어링 및 해양지원 서비스 전문업체 하우메아 오프쇼어(Haumea Offshore)가 무히바 엔지니어링(Muhibbah Engineering)과 말레이시아 최대 조선·해양플랜트 EPC 기업 가운데 하나인 MMHE(Malaysia Marine and Heavy Engineering) 등 자국 업체 두 곳을 상대로 과거 하도급 계약과 관련된 별개의 중재 절차를 한 달 만에 개시했다.

◇ 무히바 엔지니어링, 예타군 프로젝트 하도급 중재


업스트림 온라인 보도에 따르면, 무히바 엔지니어링은 하우메아 오프쇼어한테서 미얀마 해상 예타군(Yetagun) 생산 유전에 대한 하도급 계약과 관련한 중재 통지서를 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예타군 유전의 산성가스 제거 설비(Acid Gas Removal Unit) 구축 사업으로, 무히바 엔지니어링이 주계약사로, 하우메아 오프쇼어가 하도급사로 참여해 후크업(Hook-up), 시운전(Commissioning), 해양 선박 지원(Marine Vessel Services)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무히바 엔지니어링은 금요일 말레이시아 증권 거래소 공시를 통해 이 사실을 알렸다. 회사 측은 "무히바 엔지니어링 이사회는 회사가 TFO한테서 예타군 산성 가스 제거 장치 프로젝트의 연결 및 시운전 작업과 해상 선박 서비스에 대한 하도급 계약과 관련하여 총 4340만 링깃(약 140억 9371만 원)의 청구액에 대한 중재 통지서를 접수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하도급 계약은 2020년 7월 15일부로 상호 합의에 따라 해지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

하우메아 오프쇼어는 MMHE를 상대로도 중재 절차를 시작했으며, 이 분쟁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해상 Bokor 유전의 Phase 3 중앙처리플랫폼(CPP) 건설 사업과 관련된 분쟁이다. 이 프로젝트에서도 MMHE가 주계약사, 하우메아 오프쇼어가 하도급사로 참여해 후크업, 시운전, 해상 선박 서비스 등 복합적인 업무를 담당했다.

하우메아 오프쇼어는 MMHE를 상대로 총 5730만 링깃(약 186억 760만 원) 규모의 청구를 제기했다. 하우메아 측은 계약상 의무를 모두 이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MMHE 측은 일부 서비스 불이행, 추가 비용 정산 미합의 등을 이유로 대금 지급을 보류했다고 반박했다. MMHE는 현재 방어 논리를 마련하고 있으며, 반소(Counterclaim) 가능성도 시사했다.

◇ 해양플랜트 업계 하도급 분쟁의 구조적 원인과 시사점


이번처럼 대형 프로젝트의 하도급 계약 관련 분쟁이 자주 발생하는 구조적 원인으로는 복잡한 하도급 구조, 추가 작업 및 비용 정산의 불분명성, 예상치 못한 환경 변화에 따른 계약 조기 해지 시 책임 소재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말레이시아와 동남아시아 건설·플랜트 업계는 이런 분쟁 발생 시 법원 소송 대신 중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번 두 사건 역시 중재 절차를 통해 해결될 전망이다.

이번 분쟁은 말레이시아 해양플랜트 업계 전반에 하도급 계약 투명성, 신뢰성,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다시 일깨우고 있다. 프로젝트 계약 시 대금 지급 조건, 해지 조항, 추가 작업 처리 방식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 마련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재 절차는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걸릴 수 있어 분쟁 장기화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각 사는 법률적, 재무적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며, 업계 전반에는 신뢰 회복과 계약 관리 역량 강화라는 과제가 남게 됐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