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中 상무부, ‘제로 마일리지 중고차’ 논란에 비야디·동펑 등 완성차 업체 긴급 소환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中 상무부, ‘제로 마일리지 중고차’ 논란에 비야디·동펑 등 완성차 업체 긴급 소환

지난해 5월 22일(현지시각) 중국 장시성 난창에 위치한 장링그룹 전기차 공장에서 직원들이 전기차 생산 라인에서 작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5월 22일(현지시각) 중국 장시성 난창에 위치한 장링그룹 전기차 공장에서 직원들이 전기차 생산 라인에서 작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당국이 실질적인 주행 이력이 없는 신차를 중고차로 판매하는 이른바 ‘제로 마일리지 중고차’ 거래 확산을 놓고 업계의 실적 부풀리기 관행이 도마 위에 오르자 관련 업계와 제조사들을 긴급 소환해 대책 논의에 나섰다.

2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날 오후 중국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인 비야디와 동펑자동차(동펑)를 비롯해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중국자동차유통협회(CADA), 일부 중고차 거래 플랫폼 관계자들을 불러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최근 중국 내 자동차 시장에서 이례적인 중고차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는 업계의 내부 고발성 발언이 잇따르면서 급하게 소집된 것이다.

웨이젠쥔 창청자동차(그레이트월모터) 회장은 지난주 중국 포털 시나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중고차 시장에서 ‘제로 마일리지’ 상태의 차량이 유통되는 기이한 현상이 생겼다”며 “실제로는 한 번도 운행되지 않았지만 이미 등록과 번호판 발급이 완료돼 서류상으로는 판매가 완료된 차량들이 다시 중고차로 판매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 내 중고차 플랫폼에만 최소 3000~4000곳의 딜러가 이같은 차량을 팔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동차 업계에 정통한 소식통은 로이터에 “완성차 업체들이 공격적인 판매 목표를 맞추기 위해 실제 운행되지 않은 차량을 먼저 등록 처리한 뒤 중고차 시장으로 다시 되팔아 실적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며 “업계 내부에서는 오래전부터 이같은 관행이 존재해 왔으며 최근 들어 과열 양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이날 회의에서 이같은 거래 행위를 단속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는 법적 기준 마련과 함께 통계상 판매량 집계 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업계와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몇 년 간 이어진 중국 자동차 시장의 가격 경쟁 심화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중국 자동차업계는 테슬라, 비야디 등 선도 기업들을 중심으로 고강도 가격 인하 경쟁을 이어가며 신차 수익률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부 딜러들이 정상적인 유통 구조를 벗어난 판매 방식을 통해 실적과 수익을 보전하려 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회의에는 상무부 외에도 자동차 생산 및 유통 관련 핵심 단체와 주요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비야디, 동펑, CADA, 상무부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으며, 그레이트월과 CAAM은 언급을 거부했다.

이날 보도 이후 홍콩 증시에서는 자동차 관련 종목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비야디와 리오토(리팡)의 주가는 각각 3.1% 하락했고 항셍 자동차 지수 역시 2% 넘게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당국의 규제 강화 가능성과 함께 해당 관행이 확산돼 온 규모와 범위에 따라 향후 실적에 미칠 영향이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중고차 시장의 신뢰 회복과 통계 왜곡 방지를 위해 어떤 조치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특히 통계상으로는 신차 판매량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유통 차량 수나 실질 수요와의 괴리가 커진다면 국내외 투자자 신뢰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