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질랜드 황금비자, 홍콩·中 부자들 고급 부동산 구매 견인

글로벌이코노믹

뉴질랜드 황금비자, 홍콩·中 부자들 고급 부동산 구매 견인

AIP 프로그램 재개 후 200건 신청, 美·中·홍콩 순으로 관심 집중
소수 구매만으로도 고급 주택시장에 '상당한 영향' 미칠 것
뉴질랜드의 개편된 황금비자 프로그램이 부유한 홍콩인과 중국 본토인들의 고급 부동산 구매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뉴질랜드의 개편된 황금비자 프로그램이 부유한 홍콩인과 중국 본토인들의 고급 부동산 구매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로이터
뉴질랜드의 개편된 황금비자 프로그램이 부유한 홍콩인과 중국 본토인들의 고급 부동산 구매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소수의 새로운 고액 순자산 거주자들의 주택 구매만으로도 뉴질랜드 고급 부동산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고 6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뉴질랜드 정부 공인 자문업체 그리너 패스처스에 따르면, 지난 4월 AIP(Active Investor Plus) 프로그램이 재시작된 이래 약 200건의 신청서가 접수됐다. 상위 3개 신청 국가는 미국(85건), 중국 본토(26건), 홍콩(24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용 부동산 투자는 이 제도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신청이 승인된 사람들은 개인 용도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 뉴질랜드는 2018년 투기 방지와 시민들의 주택 구매력 보호를 위해 외국인 부동산 구매를 제한했으며, 최근까지 호주인과 싱가포르인만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유일한 외국인 그룹이었다.

부동산 중개업체 주와이 IQI의 카시프 안사리 CEO는 "뉴질랜드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거의 모든 수의 새로운 고액 순자산 개인은 뉴질랜드의 상대적으로 작은 토지 및 고급 주택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그들은 고급 교외 지역의 주택과 큰 부동산을 위한 토지를 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AIP 프로그램은 두 가지 투자 경로를 제공한다. 성장 부문은 3년간 뉴질랜드 기업이나 관리펀드에 최소 약 300만 달러 투자와 연간 21일 체류를 요구하며, 균형 부문은 5년간 600만 달러의 광범위한 투자와 연간 105일 체류를 조건으로 한다. 성공적인 지원자는 뉴질랜드에서 거주, 근무, 학업할 권리와 함께 영주권 취득 경로를 얻게 된다.

그리너 패스처스의 도미닉 존스 전무는 "각 비자 신청자는 서로 다른 배경에서 왔으며 고유한 상황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경험상 그들은 고액 자산가"라며 "뉴질랜드의 생활방식과 여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되어 영구 이주를 원하거나 가족에게 이주 선택권을 제공하고 싶어 한다"고 설명했다.

영국 컨설팅업체 헨리앤파트너스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올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인기 있는 이민 프로그램이며, 지원자의 절반은 미국에서, 약 3분의 1은 중국에서 온다. 2024년 이 제도는 문의가 151% 증가했으며 올해도 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뉴질랜드는 지금까지 약 100건의 AIP 신청을 승인했으며, 안사리 CEO는 이 중 4분의 1이 주택을 구입하더라도 시장을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연간 1000만 뉴질랜드달러(600만 미국달러) 이상 판매가 10-30건에 불과한 시장에 25건의 고급 부동산 구매가 추가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뉴질랜드 주택 수요는 "적당히 균형 잡힌" 상태로, CBRE 조사에 따르면 감정평가사의 57%가 중간 정도 수요를, 41%가 소프트 수요를 지적했다. 가격 전망은 긍정적이며, 감정평가사의 3분의 2는 향후 12개월간 주택 가격이 최대 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안사리 CEO는 "주택 구입은 시골 부동산용 토지와 최고의 동네, 최고 학교 및 편의시설 근처 주택으로 제한될 것"이라며 "미들마켓과 기타 지역은 영향을 보지 못할 것이고, 집중적이고 좁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클랜드 항구변 교외 지역이 가장 많은 구매자 관심을 받을 것이며, 웰링턴과 퀸스타운이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헨리앤파트너스의 트로이 핸리 전무는 뉴질랜드가 안전하고 좋은 교육·의료 서비스, 환경을 갖췄지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주요 시장과의 근접성을 원하는 글로벌 연결 가족들에게는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