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잇따라 발표한 고강도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평균 수입세율이 지난 1910년 이후 최고 수준인 20.6%까지 올라간 것으로 분석됐다.
15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경제매체 인베스토피디아에 따르면 예일대 산하 예산정책분석기관인 ‘예일 버짓랩’은 이날 펴낸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부터 잇따라 발표한 관세 조치가 누적되며 미국의 전반적인 무역 비용을 급격히 끌어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멕시코 수입품에 30%, 캐나다 제품에 35%, 구리에 50% 등 고율의 신규 관세가 부과된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됐다.
◇ 평균 세율 20.6%, “가계당 연간 2800달러 손실”
당시 미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50세, 국민 주요 직업은 농장 노동자였고 자동차 보급률은 인구 1000명당 5대에 불과했다.
예일 버짓랩에 따르면 미국 내 대부분의 수입품이 이번 관세 조치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 가격 상승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일 버짓랩은 “관세가 최종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면서 평균 가계당 2800달러(약 393만원)의 추가 지출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인플레이션 반영 시간차…CPI에 반영될 가능성
이같은 관세 조치의 물가 반영 시점과 관련해 일부 경제학자들은 관세 효과가 조만간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할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반영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6월 기준 CPI 발표는 오는 16일로 예정돼 있다.
앞서 트럼프는 철강과 자동차를 포함한 다수의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온 바 있으며 최근에는 브라질 수입품에도 50%의 관세를 선언하는 등 관세 확대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무역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미국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