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암호화폐 4법 끝내 통과"

비트코인 · 리플 돌연 급락 암호화폐 대왕고래 무더기 투매... 미국 의회 크립토 4법 충돌
크립토 위크를 맞아 잘나가던 비트코인 · 리플 등이 돌연 급락하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 대왕고래들이 무더기 투매를 하고 있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연일 신고가를 갈아치운 뒤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급락하고 있다. 이번 하락은 최근 랠리에서 얻은 이익을 투자자들이 대거 실현하면서 발생했다.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들이 대거 매도에 나섰다. 차익 실현 총 35억 달러 가운데 56%인 19억 달러는 155일 이상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들이었다. 이날 하락은 급등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으로, 가격 상승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가상화폐 투자 업체 9포인트 캐피털 CEO 스리니바스 L도 "단기 하락은 매수 기회로 봐야 한다"며 "모멘텀과 펀더멘털 모두 지속적인 강세 전망을 뒷받침한다"고 전망했다. 시가총액 3위 엑스알피(리플)와 솔라나, 도지코인도 떨어지고 있다. 시총 2위 이더리움은 오르고 있다.
미국 연방 하원은 이번 주를 '크립토 위크'로 지정하고 이른바 가상화폐 3법을 다루고 있다. 디지털 자산 관련 규제를 명확히 하는 '클래러티 법안', 연방준비제도의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발행을 금지하는 'CBDC 감시 국가 방지법안',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의도하는 '지니어스 법안' 등이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트럼프 행정부의 친(親)가상화폐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다. 법안의 진전 상황은 현재의 가상화폐 랠리에 또 다른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 사토시 나카모토 지갑 "의문의 대량 매도" 암호화폐 주간 크립토 4법 급물살
암호화폐 주간 크립토 4법 입법을 계기로 뜨겁게 달아오르던 비트코인이 돌연 급락 한 가운데 비트코인의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 지갑에서 의문의 대량 매도가 드러나 주목을 끌고 있다. 비트코인(Bitcoin, BTC) 가격 급락은 고래 지갑에서 대규모 비트코인 매도가 발생하면서 야기됐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은 사토시 시절부터 보유된 8만 비트코인 이상을 관리 중인 고래 주소에서 최근 9,000 비트코인을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로 이체한 사실을 포착했다. 이 물량은 시가 기준 약 10억 6,000만 달러 규모다. 또 같은 주소에서 추가로 7,843비트코인이 이동됐다. 비트코인의 변동은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과 다우지수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 이후 또 다른 고래 투자자가 롱 포지션을 청산하고 숏 포지션으로 전환하면서 시장 불안이 가중됐다. 일부 투자자들은 최근의 수익 실현 움직임을 단기 고점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 중에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면서 시장 변동성이 극대화됐다. 이는 단기 수급 구조에 큰 충격을 준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가 비트코인(Bitcoin, BTC)과 이더리움(Ethereum, ETH)의 현물 거래 서비스를 공식 개시하며 기관과 기업 고객을 위한 암호화폐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영국 지사를 통해 시작된 이 서비스는 기존 외환 플랫폼에 통합돼 운영된다. 스탠다드차타드는 기관 투자자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거래를 시작했으며, 이후 암호화폐 기반의 비인도도 선도거래(NDFs) 상품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스탠다드차타드 그룹 CEO인 빌 윈터스(Bill Winters)는 “디지털 자산은 금융 서비스 진화의 핵심 기반이며, 혁신과 포용성, 산업 전반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번 서비스는 은행의 기존 플랫폼에 통합돼 외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고객은 자신의 선호에 따라 암호화폐 자산을 저장할 수 있다. 스탠다드차타드 자체 커스터디 솔루션은 물론 다양한 외부 커스터디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거래와 보관을 분리한 맞춤형 암호화폐 운용이 가능해졌다. 스탠다드차타드는 이미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규제된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이번 영국 현물 거래 개시는 암호화폐 인프라 확장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은행권에서도 본격적으로 디지털 자산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흐름이다. 은행은 향후 암호화폐 파생상품까지 포트폴리오를 넓힐 예정이며, 기관 투자자에게 보다 전문적인 디지털 자산 접근 경로를 제공할 계획이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연일 신고가를 갈아치운 뒤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15일(현지시간) 하락하고 있다.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2시 10분(서부 시간 오전 10시 4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11만7천155달러에 거래됐다.
24시간 전보다 2.16% 내린 수준이지만, 전날 12만3천달러선을 처음 돌파했던 것에 비하면 약 5% 내렸다.
이날 가격은 고점이었던 12만3천200달러대보다 7천 달러 이상 하락한 11만5천700달러대까지 한때 내려가는 등 11만7천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전날부터 이어진 이번 하락한 최근 랠리에서 얻은 이익을 투자자들이 대거 실현하면서 발생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투자자들은 총 35억 달러(4조8천590억원)에 달하는 차익을 실현했다. 이는 올해 들어 하루 기준 최대 규모 중 하나다.
특히,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들이 대거 매도에 나섰다. 차익 실현 총 35억 달러 가운데 56%인 19억 달러는 155일 이상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들이었다.
이날 하락은 급등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으로, 가격 상승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가상화폐 거래소 파이42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 아비나시 셰카르는 "비트코인이 11만7천400 근방으로 후퇴한 것은 급격한 랠리 이후의 건전한 시장 역학을 반영한다"며 "가격 하락에도 기관의 관심은 여전히 강력하며 지표들은 전반적인 상승 추세가 굳건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가상화폐 투자 업체 9포인트 캐피털 CEO 스리니바스 L도 "단기 하락은 매수 기회로 봐야 한다"며 "모멘텀과 펀더멘털 모두 지속적인 강세 전망을 뒷받침한다"고 전망했다.
시가총액 3위 엑스알피(리플)도 0.49% 내린 2.93달러, 솔라나와 도지코인도 0.89%와 0.81% 하락한 162달러와 0.20달러를 나타냈다.
시총 2위 이더리움은 2.81% 오른 3천83달러에 거래되며 3천 달러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