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만의 전문가 복귀, 3나노 이하 첨단공정 인력 대거 포함…지연됐던 공장 정상화 신호탄
전영현 부회장 6월 실리콘밸리 방문 후속 조치…AI 칩 파운드리 대형 계약 '가시권'
전영현 부회장 6월 실리콘밸리 방문 후속 조치…AI 칩 파운드리 대형 계약 '가시권'

◇ 1년 만의 복귀…단순 건설 아닌 '양산 전문가'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 소속 전문가와 기술자들을 테일러 공장으로 돌려보내고 있다. 거의 1년 전 건설 속도 조절을 이유로 기술자들을 철수시켰던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특히 이번에 파견되는 인력은 단순 건설 인력을 넘어 공정, 장비, 수율, 품질 등 대량생산을 두루 책임지는 전문가들로 꾸려졌다. 기반시설 건설 조직인 글로벌인프라총괄은 물론, 3나노 이하 초미세 공정을 맡는 핵심 인력까지 대거 포함됐다.
◇ '엔비디아' 정조준…최고위층 직접 나서
삼성전자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의 최근 행보가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전 부회장은 지난 6월 말 미국 실리콘밸리를 직접 찾았으며, 업계는 이 기간 그가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파운드리 고객사와 대형 수주를 따내기 위해 만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서 2026년까지 테일러 공장을 완공해 본격 가동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핵심 인력 파견을 두고, 업계에서는 엔비디아 등 미국 고객사를 위한 대규모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칩의 양산·공급 계약이 임박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삼성전자가 목표 달성을 위해 본격적인 채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