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 노동부(DOL)에 1974년 제정된 '직원퇴직소득보장법(ERISA)'의 적용을 받는 퇴직연금 내 대체 자산 투자 지침을 재검토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동부는 또한 향후 자산 배분형 펀드가 새롭게 포함되는 대체 자산에 투자할 경우, 수탁자의 책임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로리 차베스-드리머 노동부 장관에게 재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연방 규제 당국과 협력해 제도 개정 필요성을 검토하도록 지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는 특히 SEC에는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대체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 완화 방안 마련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에 따르면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약 12조5000억 달러(약 1경6000조 원) 규모의 미국 퇴직연금 시장에 대체투자 상품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모펀드·부동산·암호화폐 등 관련 자산운용사들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이들 상품의 ‘주류화’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이번 행정명령이 즉각적인 제도 변화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TD 코웬 워싱턴 리서치 그룹의 제럿 사이버그 금융정책 애널리스트는 “정부 부처들이 새로운 규제를 마련하는 데만 최소 1년 반에서 2년, 즉 2026년까지 걸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핀볼드(Finbold)는 “제도적 장벽이 낮아지는 흐름이 본격화했다는 점에서 대체투자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면서도 “본격적인 제도 시행과 시장 내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