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셸 보우먼 미국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이 최근 고용 부진 지표가 노동시장 취약성에 대한 우려를 뒷받침한다며 올해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한 확신이 더 커졌다고 밝혔다.
10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보우먼 부의장은 전날 캔자스주 은행가협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최근 고용시장 데이터는 경제활동과 고용 여건의 추가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조치했어야 한다는 내 견해에 힘을 보탰다”고 말했다.
미 노동부의 7월 고용보고서는 실업률이 4.2%로 상승했고 최근 3개월간 월평균 일자리 증가가 3만5000개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우먼은 “이는 올해 초의 완만한 증가세보다 훨씬 낮고 노동 수요의 뚜렷한 약화를 시사한다”고 말했다.
보우먼 부의장은 최근 인플레이션 흐름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인한 상품 가격 상승분을 제외하면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2.8%인 공식 수치보다 연준 목표치인 2%에 훨씬 가깝다”고 분석했다.
그는 세제 감면과 규제 완화 등 행정부 정책이 관세로 인한 경기·물가 부담을 상쇄할 것이라며 “주택 수요가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이고 노동시장이 더 이상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지 않는 상황에서 물가상승 위험은 줄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올해 9월, 10월, 12월 세 차례의 통화정책회의를 남겨두고 있다. 보우먼은 “지금의 다소 제약적인 정책 기조를 점진적으로 완화하면 노동시장이 추가로 악화할 경우 더 큰 정책 수정이 필요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