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노동자, 수수료 8%→1~2%로 절감… 네팔 등 '은행 계좌 없는' 인구도 포용
중앙은행들, '규제' 난제 직면… 혁신-감독 균형 맞추고 '불법 자금' 방지 총력
중앙은행들, '규제' 난제 직면… 혁신-감독 균형 맞추고 '불법 자금' 방지 총력

이 기술은 수수료를 대폭 낮춰 이주 노동자들의 송금 방식을 재편하고, 수백만 명의 '은행 계좌가 없는(unbanked)' 인구를 금융 시스템으로 끌어들이며 지역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수십 년간 웨스턴 유니온과 머니그램 같은 전통적인 전신 서비스에 의존했던 이주 노동자들은 이제 모바일 머니 플랫폼을 통해 훨씬 저렴하게 돈을 보낼 수 있게 되었다.
과거 6~8%에 달했던 송금 수수료는 이제 1~2%까지 낮아졌으며, 이는 음식, 교육, 의료 등 기본적인 필요를 위해 송금에 의존하는 가족들에게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모바일 머니 플랫폼은 비용 절감 외에도 금융 포용성을 촉진하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이 디지털 지갑은 실제 은행 지점의 필요성을 우회하여, 이전에 금융 서비스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농촌 지역 및 은행 계좌가 없는 인구에게 금융 서비스의 관문 역할을 한다.
필리핀의 GCash 는 약 8,100만 명의 활성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방글라데시의 bKash 는 소액 금융 기관과 제휴하여 농촌 여성들에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소액 대출을 제공하기도 했다.
네팔에서는 성인의 40% 이상이 모바일 머니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은행 계좌를 보유한 인구 비율(15%)을 훨씬 웃돈다.
모바일 송금의 급증으로 남아시아 중앙은행들은 규제 체계를 점검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은 모바일 머니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침을 도입했으며, 네팔 중앙은행은 디지털 지갑 거래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디지털 은행에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블록체인 기반 송금 추적 시스템을 시범 운영하며 투명성을 높이고 불법 자금 흐름을 억제하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적응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송금량 급증은 통화 변동성 을 유발하여 통화 정책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은 타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는 '핫머니' 유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앙은행은 또한 사기, 탈세,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혁신과 감독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미묘한' 균형을 요구받고 있다. 파키스탄은 자금세탁 방지 표준에 맞춰 모바일 지갑에 대한 고객 실사(KYC) 요구 사항을 강화했다.
모바일 머니 혁명은 기술적 변화 그 이상이다. 금융 서비스 접근을 민주화하고, 국가 경제와 지역 유대를 강화하며, 정부와 중앙은행이 적응하도록 강요함으로써 보다 포용적이고 탄력적인 금융 미래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 당국은 사이버 보안 위협과 통화 변동성이라는 위험을 헤쳐나가야 한다. 남아시아가 모바일 머니를 수용함에 따라, 경제를 재배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 질서에서 자신의 위치를 재정의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