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입업자 50%, 소비자 8% 부담"… "중국, 공급망 허브 역할로 영향력 행사"
"수출업체, 가격 인하 여력 부족"… 관세 휴전에도 '신규 주문' 부진
"수출업체, 가격 인하 여력 부족"… 관세 휴전에도 '신규 주문' 부진

이는 미국 수입업자들이 관세 비용의 절반을 부담하고, 나머지 8~10%는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것과 대조되는 결과라고 2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CICC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수입품의 선적 크기, 관세율 및 가격 변화를 비교하는 회귀 분석을 통해 이러한 비용 분담을 계산했다. 예를 들어, 4월부터 7월까지 중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의 평균 가격은 27%포인트의 실효 관세 인상에 비해 2.4% 하락하는 데 그쳤다.
분석가들은 이러한 결과가 "중국 제품이 강력한 경쟁 우위와 교섭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경쟁이 덜한 일부 중국 제품은 제3국을 통해 배송되어 실제 비용을 가릴 수 있었다는 또 다른 설명을 지적했다.
이 연구는 미중 무역 전쟁의 피해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국의 관점을 제공한다. 중국 수출업체가 부담하는 예상 비용 9%는 일부 미국 소매 대기업들이 5월 말 중국 공급업체에 요구했던 66%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는 중국이 관세 비용의 대부분을 중국 기업이 부담하는 것을 막기 위한 노력에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관세 휴전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출업체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명 수출업체 황융싱(Huang Yongxing)은 "이전 주문은 배송되었고 지금은 새로운 주문이 없다"며, 공장이 계속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새로운 주문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생산 라인을 동남아시아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CICC는 앞으로 관세 비용이 소비자 물가 지수(CPI)로 측정된 미국 소비자 인플레이션에 점진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원들은 "실효세율이 16%에서 17% 사이로 유지된다면, CPI는 약 1%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하며, CPI 압력은 4분기에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요인은 수출업체가 가격을 더 낮출 여지가 있는지 여부와 수입업체가 비용 압박을 계속 흡수할 수 있는지 여부다. 황융싱과 같은 많은 중국 수출업체들은 관세 휴전에도 불구하고 주문을 이행하는 데 고군분투하고 있다.
저장성에 기반을 둔 기업가는 "미래 배치는 매우 도전적이며, 일부 생산 능력은 유휴 상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