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미국 조지아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구금자 475명 중 대다수 한국 국적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미국 조지아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구금자 475명 중 대다수 한국 국적

직접고용은 없어…하청 구조 책임론 부상
한국 정부, 국민 권익 보호 위해 미국에 항의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이 공장 입구에서 신분 확인 및 체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ICE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이 공장 입구에서 신분 확인 및 체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ICE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된 475명 가운데 대다수가 한국 국적자로 확인됐다고 CNN, USA투데이 등 외신들이 5일(현지시각) 전했다. 연방 수사당국은 이들이 불법 입국, 비자 초과 체류, 비자 면제 프로그램 위반 등 다양한 형태로 미국 내 불법 노동 상태에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이민 단속을 넘어 불법 고용 구조 전반에 대한 범죄 수사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이번 조치를 "단일 사업장 기준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강조했다.

◇ 하청 구조에 쏠린 시선


HSI 특수요원 스티븐 슈랭크는 "475명 전원이 불법 신분 상태이며 대다수가 한국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국적 분포는 공개되지 않았다. 일부는 국경을 불법으로 넘어왔고, 일부는 관광 또는 비자 면제 프로그램으로 입국한 뒤 취업 제한 규정을 위반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비자 기간을 초과 체류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차 대변인 마이클 스튜어트는 "직접 고용 직원 가운데 구금된 인원은 없다"며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모든 법과 규정을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HL-GA 측 역시 "당국 수사에 전적으로 협조 중"이라고 밝혀, 구금자 상당수가 하청업체 소속임을 시사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하청 고용 구조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 한국 정부 "국민 권익 침해 안 돼"


한국 외교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하며 미국 정부에 항의했다. 이재웅 대변인은 "다수의 우리 국민이 구금된 상황"이라며 "투자 기업 활동과 국민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주한미국대사관을 통해 우려를 전달하고, 구금된 국민의 권리 보호를 촉구했다.

이번 사건으로 HL-GA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은 중단됐으며, 현대차가 약 76억 달러를 투입 중인 메타플랜트 프로젝트 전반에도 불확실성이 드리워졌다. 조지아주가 "8500개 일자리 창출"을 내세워 홍보했던 핵심 사업장에서 대규모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가 발생하면서 한·미 양국 모두에 정치·외교적 파장이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