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일대 경영대학원이 워싱턴DC에서 개최한 CEO 회의에서 진행된 비공개 설문 결과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지난 17일 열린 이 회의에는 GM의 메리 바라,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모토로라솔루션스의 그레그 브라운 등 대기업 경영진이 참석했으며 이들 가운데 70명이 백악관 정책 전반에 대해 응답했다.
◇ 관세·연준 압박·보건 리스크 지적
설문에 응한 CEO의 71%는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가 자사에 해를 끼쳤다고 답했다. 또 74%는 법원이 이 관세가 불법적으로 집행됐다고 판결한 것이 옳다고 평가했다.
응답자의 80%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에게 금리 인하 압박을 가한 것이 국가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고, 76%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미국 공중보건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 회의 직후 발표된 또 다른 정책도 기업계에 충격을 줬다는 평가다. 백악관은 지난 19일 밤 기습적인 행정명령을 통해 H-1B 비자 신청 수수료를 건당 10만 달러(약 1억3900만 원)로 인상했다. 이는 해외 인재에 크게 의존하는 미국 주요 IT 기업들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
◇ 기업들 “보복 우려에 침묵”
기업인들은 공개적으로는 트럼프 정책을 비판하지 않고 있다. 예일대의 제프리 소넨펠드 교수는 “CEO들은 백악관으로부터 소외될까 두려워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면서 “트럼프 1기 때와 달리 이번에는 임계점이 어디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행정부는 세금 감면, 규제 완화, 에너지 정책을 통해 친성장 기조를 강화하고 있으며 수조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가 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반박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