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뱅가드의 이러한 움직임은 변동성이 크지만, 인기 있는 자산군인 암호화폐에 대해 그동안 보여왔던 보수적 입장을 대폭 완화하는 조치로 업계의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뱅가드 플랫폼에서 암호화폐 ETF 거래가 허용되면 11조 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뱅가드의 5천만 명 이상 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에 한층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뱅가드는 현재 자체적인 암호화폐 ETF는 운용하지 않으며, 고객들은 타사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ETF를 뱅가드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없다.
뱅가드 대변인은 블룸버그에 “지속적으로 중개 거래 서비스, 투자자 선호도 및 변화하는 규제 환경을 평가하고 있다”면서 “결정이 내려지면 고객들에게 직접 안내할 것”이라고 밝혔다.
뱅가드는 앞서 비트코인이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으며, 자산군 전반이 “미성숙하다”면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포트폴리오에 편입되면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전임 CEO인 팀 버클리는 뱅가드가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고, 창립자인 잭 보글 역시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역병처럼 피하라”고 조언한 바 있다.
그렇지만 사상 첫 외부 출신 CEO인 람지는 전임자와 달리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에 관심을 표명해 왔다.
비트코인 ETF는 지난해 1월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이후 기록적인 자금 유입을 이끌었다. 현재 비트코인 ETF는 총 1420억 달러(약 200조 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 중이다. 이 가운데 블랙록의 ETF인 IBIJ는 운용 자금 규모가 약 840억 달러에 달한다. 특히 올해 들어서만 240억 달러가 신규 유입되며 미국 내 전체 ETF 중 자금 유입 상위 5위에 올랐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에릭 발추나스 수석 ETF 애널리스트는 “(암호화폐) ETF의 놀라운 성공이 압박을 크게 키웠다”면서 “비트코인 ETF가 실패작이었다면 뱅가드가 플랫폼에서 암호화폐 거래 금지 해제를 고려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실리콘 디코드] 삼성전자, 2나노 '엑시노스'로 퀄컴에 1년 앞선...](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3010281307895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