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른바 ‘증강현실(AR) 안경’이 일상으로 확산하면서 개인 정보 보호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안경을 수백만명이 착용하는 시대가 오면 누가 언제 데이터를 수집하는지조차 인식하기 어려워진다”고 전문가들의 지적을 인용해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국제프라이버시전문가협회(IAPP)의 조 조운스 조 연구소 소장은 포춘 산하 IT 전문매체 아이티브루와 인터뷰에서 “길거리를 걷는 평범한 사람들이 모두 촬영 기능이 있는 안경을 쓰고 있다면 서로의 사생활이 언제 노출되는지조차 모르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들이 ‘나는 근시가 아니라 단지 모두를 찍고 있을 뿐’이라고 밝힐 수도 없지 않겠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사람들을 유심히 보는 이유는 호기심 때문이 아니라 단지 카메라를 들고 있어서일 뿐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 말 자체가 변명처럼 들린다는 얘기다.
조운스 소장은 AR 안경의 확산이 데이터 수집과 개인 정보 관리의 법적 책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동공 반응 같은 생체 정보까지 감지될 수 있다”며 “문제는 이런 데이터가 언제,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수집되는지를 사람들이 전혀 모른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성숙한 기술 기업들은 데이터를 가능한 한 기기 내부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활용이 끝난 정보는 즉시 삭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며 “일부 제조사들은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품에 명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문제는 기술이 점점 ‘눈에 띄지 않게’ 설계된다는 것”이라며 “CCTV처럼 보이거나, 스마트폰을 드는 순간을 인식하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AR 안경은 의료, 연구,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조운스 소장은 “의료나 정밀 산업에서는 효율성과 정확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사생활 침해 소지가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치과나 병원 등에서 AR 기기를 활용하는 경우 “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진이 데이터 보안과 자체 시스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AR 안경이 본격 보급될 경우 ‘디지털 사회적 계약’이 사실상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조운스 소장은 “누가 촬영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환경에서 동의와 통제의 개념이 무의미해진다”며 “결국 투명성과 책임을 강화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팔란티어·AMD 실적 발표에 촉각](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206363203421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