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국 공영방송 BBC의 고위 경영진 사퇴와 사과 조치 이후에도 공영·민간 언론 전반으로 공격 범위를 넓히며 ‘반(反)언론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고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1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타임에 따르면 BBC가 지난해 미국 대통령선거 직전 방영한 다큐멘터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2021년 1월 6일 연설을 잘못 편집했다는 논란이 촉발점이었지만 이후 백악관은 미국 방송·신문과 국제 공영방송에 대해서도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BBC가 사과와 정정보도를 내고 최고경영진이 물러난 뒤에도 ‘고의적 조작’을 주장하면서 공개 사과와 배상, 프로그램 철회를 요구했다. 배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최소 10억 달러(약 1조4660억 원) 소송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백악관이 꾸준히 이어온 언론 압박 흐름 속 한 사례일 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ABC·CBS 잇단 합의…거액 배상 압박
CBS방송의 모회사 파라마운트도 지난 7월 유명 시사 프로그램 ’60분’의 인터뷰 편집 논란 소송에서 1600만 달러(약 234억5600만 원)를 지급하고 합의했다. 이후 CBS 내부 조직 개편과 해고, 편성 개편 움직임이 이어졌고 백악관은 “거짓 편집에 책임을 져야 한다”며 압박했다.
USC 애넌버그스쿨의 크리스티나 벨란토니 교수는 “언론사가 대통령과 장기 소송을 벌이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몇 년 뒤 미국 언론이 완전히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 공영방송 폐쇄…VOA 송출 중단
백악관은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는 방송도 직접 겨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영방송 세금 지원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PBS·NPR 등 미국 주요 공영방송의 재원을 보조하던 공공방송법인 CPB는 11억 달러(약 1조6126억 원) 예산이 끊기며 8월 폐쇄됐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반선전 목적의 국제방송이었던 VOA(미국의 소리)는 지난달 정부 셧다운 사태 속에 송출이 멈추고 수백 명의 인력이 해고됐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의 브렌던 카 위원장은 NPR과 PBS의 후원·편성에 대한 감사를 하겠다고 했고 일각에서는 라이선스 취소 가능성까지 거론됐다.
◇ 신문·디지털 매체도 표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미국 유력 경제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의 엡스타인 관련 보도도 문제 삼아 100억 달러(약 14조6600억 원)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신문사 측은 “정당한 취재”라고 반박했고 법원은 기각 여부를 심리 중이다.
지난 9월에는 뉴욕타임스와 펭귄랜덤하우스를 상대로 150억 달러(약 21조9900억 원) 소송을 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 서적과 기사들이 “조직적 정치공작”이라고 주장하면서다. 미 연방법원은 첫 소장을 “정치적 분노를 쏟아내는 장이 아니다”라며 각하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10월 재소장을 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3대 지수↓, ’월가 공포지수’ 폭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806424407854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