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그는 “기술이 관세를 이긴다(Tech trumps tariffs)”는 표현을 통해 현재의 주식시장 강세가 중장기적으로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기술로 성장률 2→4%까지…예외주의는 지속된다”
루비니는 25일(현지시각) 발행된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에서 “미국 경제가 관세, 이민 제한,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성장 둔화에 그친 것은 시장의 자율 조정과 기술 투자 확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양자컴퓨팅, 우주 산업, 방산 기술 등 핵심 산업에서 미국은 세계 선도국이며 이 같은 기술 우위는 향후 미국의 잠재성장률을 2%에서 4%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루비니는 “2% 성장률에서도 미국 예외주의가 통했는데 4% 시대로 들어서면 오히려 더 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트럼프 정책은 비판…성장은 기술 중심의 구조적 회복”
루비니는 이번 분석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옹호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그는 미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된 배경으로 △무역장벽 △재정 지출 확대 △연방준비제도 독립성 훼손 △법치주의 약화 등을 지목하며 이 같은 정책들이 오히려 시장의 신뢰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시장의 자정 기능과 기술 중심의 민간 자본지출이 회복세를 견인하고 있다”며 “AI를 비롯한 기술 혁신이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재정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주식시장 거품론은 과장…성장은 수익률로 이어진다”
루비니는 “과거 2% 성장률에서도 미국 주식은 연평균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해왔고 향후 성장률이 높아질 경우 수익률은 더 상승할 수 있다”고 말해 미국 주식시장이 버블 상태이며 붕괴될 것이라는 시각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생산성 향상과 기술 혁신에 따른 공급 충격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실질금리 상승을 억제해 장기적으로는 부채비율 안정 및 달러 강세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 “기술 성장으로 부채도 감당 가능”
FT에 따르면 미 의회예산국(CBO)은 향후 30년간 평균 성장률을 1.6%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 경우 GDP 대비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본다.
그러나 루비니는 성장률이 2.3%만 돼도 부채비율은 안정되고 3% 이상이면 오히려 하락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AI로 인한 일자리 충격 등 우려 요인은 존재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미국은 선진국 가운데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서의 입지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금리 인하 기대감 속 3대 지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606445305949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