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경제연구원은 이날 ‘2016년 국내경제 진단’ 보고서에서 “올해도 3%대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우리 경제를 둘러싼 국내외 여건들이 더 나아지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은 3.1%다.
LG경제연구원은 선진국의 수요 둔화와 중국의 성장 저하, 지원수출국 리스크(위험) 지속을 악재로 꼽았다.
급증한 기업 및 가계 부채는 한국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지목됐다.
작년 9월 말 현재 공기업을 포함한 전체 기업 부채는 1631조7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106%에 달한다. 비금융 상장기업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이하로 부채 상환 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29.9%로 나타났다.
가계의 소비심리 회복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한 가계 부채는 올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증가시켜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했다.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부양책 효과도 줄어들었다.
고용활력도 작년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기업들의 장기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낮아져 지난해 9.2%를 기록한 청년 실업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의 생산성 저하 추세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016∼2020년 연평균 2.5% 수준에 머물고 2020년대에는 1%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2015∼2018년 연평균 잠재성장률로 추산한 연평균 3.0∼3.2%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LG경제연구원은 “경제활력의 동인을 내수 분야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산업의 성장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김나인 기자 silk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