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세계 2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작년 2분기 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에 달했다.
이는 통계가 있는 43개국 가운데 7위로 나타났다. 1위는 스위스의 128.8%, 2위 호주 121.3%, 3위 덴마크117% 순이었다.
2017년 2분기와 비교한 상승 폭은 2.4% 포인트로 중국의 3.4% 포인트, 덴마크의 2.9%포인트에 이어 3위였다.
우리나라의 가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작년 2분기 말 현재 12.4%로 역대 최고로 나타났다.
DSR은 특정 기간에 갚아야 할 원리금이 가처분소득과 견줘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비율이 높을수록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DSR은 통계가 있는 17개국 중 6위였다. 그러나 전 분기 대비 DSR 상승 폭은 0.2% 포인트로 1위였다.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DSR이 높아진 나라는 캐나다의 0.1% 포인트뿐으로 나머지는 변함없었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선 기자 bellykim@daum.net


 
							 
							 
							 
							 
							






 
					




![[뉴욕증시] 아마존 강세 속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105294402113be84d87674118221120199.jpg)






![[초점] 롯데·인도네시아 국부펀드, 5조4000억 '메가딜' 가시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107485000997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