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 세미나 개최
美 전 백악관 부보좌관, "민간 탐지-정부 조율 체계 필요"
글로벌 해커에 맞서 국제적 연대도 이뤄져야
美 전 백악관 부보좌관, "민간 탐지-정부 조율 체계 필요"
글로벌 해커에 맞서 국제적 연대도 이뤄져야

이날 행사에는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을 지낸 앤 뉴버거(Anne Neuberger) 스탠퍼드대 교수가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미국의 통신 인프라 해킹 대응 사례를 소개했다. 뉴버거 교수는 "통신 해킹의 목적은 혼란 유발이다"라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적 탐지·조율 체계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15년간 발생한 주요 사이버 공격이 모두 글로벌 정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사이버 무기를 '국가 권력의 수단'으로 규정했다.

뉴버거 교수는 지난 2023년 말 미국 주요 통신사 약 8곳이 동시에 해킹 당했던 사례를 언급했다. 당시 백악관은 민간 보안 기업의 탐지를 바탕으로 통신사 CEO들을 즉각 소집해 정보 조율에 나섰으며, 이 같은 민관 연계 대응 모델이 효과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은 "사이버 공격은 기업 차원을 넘어 산업 생태계, 나아가 국가 신뢰도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디지털 주권 관점에서의 공동대응 필요성을 역설했다. 조영철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회장도 "사이버 보안은 눈에 보이지 않는 기술 주권의 방패"라며, 정부 주도의 전략 수립을 촉구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김휘강 고려대 교수는 AI 모델 학습을 위한 자료 수집이 개인정보 유출과 사이버 위협의 새로운 접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임종인 고려대 석좌교수와 뉴버거 교수와 김상배 서울대 교수(한국사이버안보학회장), 김진수 트리니티소프트 대표, 이영주 신한금융지주 정보보호팀장이 민관·국제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김진수 수석부회장은 "AI 시대의 보안은 국가 기반 인프라의 방어선"이라며, "국내 보안 생태계의 육성이 곧 국가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주 팀장은 "망 분리 규제 완화 흐름 속에서 금융권 보안은 더욱 정교해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미국은 현재 70여 개국 및 국제기구와 함께 'CRI(Counter Ransomware Initiative)'를 추진 중이며 병원 등 민간 피해기관 간 정보 공유 시스템, 암호화폐 자금세탁 차단 등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뉴버거 교수는 "디지털 세상에는 국경이 없다" 라고 말하며 국가 단위를 넘어선 글로벌 공조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사이버 안보는 제재 참여국이 많을수록 억지력이 커진다, 현재 미국은 70여 개국과 함께 협력해 악성 인프라를 무력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