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페이 "주가부양 정책, 당장은 어렵다"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페이 "주가부양 정책, 당장은 어렵다"

"자사주 매입·소각 구조적으로 어려워…흑자전환 이후 고민할 것"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카카오페이 기자간담회가 열린 가운데 (왼쪽부터) 박석근 기술 총괄 리더, 한순욱 운영 총괄 리더, 신원근 대표, 백승준 사업 총괄 리더, 안우진 채널그룹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카카오페이이미지 확대보기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카카오페이 기자간담회가 열린 가운데 (왼쪽부터) 박석근 기술 총괄 리더, 한순욱 운영 총괄 리더, 신원근 대표, 백승준 사업 총괄 리더, 안우진 채널그룹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가 주가부양 정책과 관련해 "당장은 실행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는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신원근 대표는 "카카오페이 별도로는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증권과 보험이 투자 초기단계로 더 집행해야 할 비용이 있어 연결로는 적자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누적 결손으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소각이 구조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카카오페이 별도로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고 있고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어 연결관점 흑자도 곧 낼 수 있을 것"이라며 "흑자전환 타이밍부터 주가부양을 위한 고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한승욱 카카오페이 운영총괄 리더는 "카카오페이증권 MTS 론칭과 손해보험사 사업 등 신규투자가 발생하면서 지난해 영업손실이 발생한 채 실적이 마무리됐다"며 "전년 동기 대비 거래액과 매출이 각각 15% 성장하면서 금융투자 불안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승욱 리더는 "거래규모 확대가 목표를 달성하면 영업이익 성장도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며 "안정적인 수익모델 관리와 효율적인 비용지출로 재무성과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흑자전환 시점은 신규사업과 관련해 지난해보다 올해 도드라진 성과로 나타날 것"이라며 "다만 경기침체 등 대외환경이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당장 개선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페이는 앞으로 3년 내에 거래건수 100억건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