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강남·과천 아파트 '신고가 열풍'…선택적 매수세 뚜렷

글로벌이코노믹

강남·과천 아파트 '신고가 열풍'…선택적 매수세 뚜렷

거래량 급감 속 강남·과천 고가 단지 중심 신고가 행진
수도권 전반 위축…고급 주거지 중심 선택적 매수세 유입
입지·상품성 따라 양극화…“신고가 단지가 시장 앵커 역할”
지난 4월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시장 거래량은 감소했으나, 일부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급증하는 이중적 흐름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4월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시장 거래량은 감소했으나, 일부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급증하는 이중적 흐름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2025년 4월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거래량 급감 속에서도 고가 주거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구와 경기 과천시에서 각각 전체 거래의 59.0%, 62.5%가 종전 최고가 이상에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는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신고가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고 과천시는 전국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4월 수도권 전체 거래량이 1만3423건으로 전월 대비 47% 감소한 상황에서 일부 인기 지역 중심으로는 선별 매수가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와 과천 고급 아파트 등은 입지와 상품성에 기반한 대기 수요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주요 지역 중에서는 강남구(59.0%)에 이어 용산구(46.2%)와 양천구(44.0%)가 신고가 비중이 높았다. 용산은 개발 호재와 고급 수요가 양천은 목동신시가지 재건축 기대감이 각각 반영됐다. 서초구(33.3%)와 송파구(27.9%)도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강세를 유지 중이다. 반면 외곽 지역인 도봉(0.9%)·강북(1.5%)·노원구(1.9%)는 1% 내외의 낮은 비중을 보여 지역 간 양극화가 뚜렷했다.
경기권에서는 과천이 과천푸르지오써밋, 래미안슈르 등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행진을 주도했다. 성남 분당구(15.7%) 역시 판교 백현동과 수내·서현동 일대 리모델링 기대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부천 오정구(15.4%)와 소사구(10.1%) 등은 상대적으로 중저가인 구축 아파트에서 실수요 매수가 유입된 결과로 풀이된다.

인천은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추홀구만이 7.5%로 신고가 비중이 높았다. 정비사업 단지나 역세권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부 반등 흐름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직방 측은 "(전체) 거래량은 줄었지만,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선별적인 매수에 나서며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고가 단지의 상승 거래는 시장 기대치에 영향을 주는 기준점(앵커) 역할을 하며, 이른바 '앵커링 효과'를 통해 주변 단지의 가격 형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추후 개별 단지의 입지와 상품성에 따라 수요가 갈리는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