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미래 성장 동력 현장 의견 청취…반도체·2차전지·인공지능 육성 박차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미래 성장 동력 현장 의견 청취…반도체·2차전지·인공지능 육성 박차

연구·산업 현장 전문가 의견 청취 후 반영
국가전략기술 체계화 고도화 방안 수립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6년도 주요 연구·개발 배분 및 조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6년도 주요 연구·개발 배분 및 조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반도체와 2차전지, 인공지능(AI)과 같은 산업의 국가전략기술 체계화 고도화를 위해 방안 마련에 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위원장) 주재로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간담회’를 개최했다.

28일 과학기술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대응을 위해 국가가 국가전략기술을 지원하고 기술주도 성장을 달성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과 국가적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구·산업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설문조사 및 부처별 수요조사 등을 진행했다. 이 외에도 국가전략기술 주요 산·학·연을 대상으로도 소통하고 있다.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간담회에는 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전략기술특위 위원을 대상으로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방향과 의견수렴 경과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급속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 대응과 미래혁신을 위해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또 민관이 함께 국가적 당면 과제 등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체계화 및 고도화 과정에서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에 특위 위원들은 적극 공감했다.
박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간담회는 국가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전략기술 특위 위원들의 의견을 정책 준비 과정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국가전략기술을 통해 국가 혁신을 모색하고 기술 패권 경쟁 주도권 확보와 기술 주도 성장을 달성하도록 향후 정책 추진 과정에서도 전략기술특위를 포함한 민간 전문가의 의견과 최신 동향을 폭넓게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까지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국가전략기술을 통해 해결이 필요한 국가적 문제 및 후보군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또 전문가 정량평가와 정성검토 등을 거쳐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체계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