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정자원 화재, 이중시스템 마련 못한 인재…복구에만 4주 소요

글로벌이코노믹

국정자원 화재, 이중시스템 마련 못한 인재…복구에만 4주 소요

카카오톡 먹통·새올 장애 사태, 이중시스템 있었어야
행안부 “예산 부족으로 이중 시스템 설치 못해”
“국정자원 대구 센터로 시스템 빠르게 이관한다”
9월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9월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국가 정보망 혼란 사태를 놓고 예상된 인재라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과거에 유사한 사건들이 발생해 국가 전산망에는 이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29일 관련 전문가들이 유사한 사건으로 지적한 것은 지난 2022년 발생한 카카오톡 먹통 사태와 2023년 지방행정정보시스템 새올 장애 사태다. 이 사건 모두 시스템 이중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생겼다. 이를 교훈 삼아 정부가 국정자원에 대해 이중 시스템을 갖췄어야 하는데 그동안 방치해왔다는 것이다.

이중 시스템이란 유사 사태에 대비해 물리적으로 똑 같은 시설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 국정자원 화재가 발생해 기능이 정지된다 해도 이중 시스템으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정부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이중 시스템과 장비를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를 내놓았다.

이중 시스템에 대해서 이재명 대통령도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긴급 비상대책회의에서 “지난 2023년 발생한 전산망 장애 이후에도 이중 시스템 등 신속한 장애 복구 조치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라면서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수립하고 확실하게 집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현재 대전경찰청은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하는 20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을 꾸린 상태다. 행정안정부와 국정자원은 작업자 13명이 국정자원 5층 전산실 서버에 무정전·전원(UPS)용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한 개의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경위를 설명한 바 있다. 이에 수사팀은 수사팀은 화재가 난 UPS 장치용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이유를 밝히는데 집중하고 있다. 또 배터리 노후화가 화재 원인이라는 의혹도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화재가 난 UPS 배터리는 지난 2014년 8월 국정자원에 납품돼 사용됐다. 제조사가 권장한 사용기간인 10년을 훨씬 넘긴 상태다.

국정자원 시스템을 화재 전으로 되돌리는 데 최소 4주가 걸린다는 전망이 나왔다. 화재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96개의 시스템을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시키고 정상화하는데 4주가 소요된다는 것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 세종청사에서 29일 브리핑을 열고 “대구센터 입주 기업의 협조 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라고 말했다. 현재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복구돼 가동 중이다. 이중 1등 업무 16개는 44.4%가 정상화됐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