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금세탁 방조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던 암호화폐 억만장자 창펑 자오를 전격 사면하면서 사면권 남용과 이해충돌 논란이 불거졌다고 CBS뉴스가 1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가문과 연계된 암호화폐 기업이 자오의 회사인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로부터 기술과 자금을 지원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통령의 사면 결정이 사익과 연결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며 CBS뉴스가 이같이 전했다.
자오는 의무 위반을 인정하고 바이낸스가 40억 달러(약 5조8200억 원)의 벌금을 납부했으며 본인은 징역 4개월을 복역했다.
전직 법무부 사면 심사 책임자인 엘리자베스 오이어는 “자오는 사면 요건에 미달하는 인물이었다”며 “이 사면은 정의가 아니라 부패”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오이어는 트럼프 행정부가 사면을 사적 보상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며 자신이 지난봄 해임된 배경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주장했다.
CBS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가문이 설립한 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대통령선거 직전인 지난해 출범했지만 투자 유치에 실패했고 엔지니어도 거의 없는 상태였다. 이 시점에 복역을 마친 자오의 바이낸스는 해당 기업에 암호화폐 출범에 필요한 기술 소프트웨어를 ‘기부’ 형식으로 제공했다.
한 관계자는 “자오 없이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증언했고 또 다른 관계자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대선 이후를 기약한 프로젝트였지만 바이낸스 지원과 함께 세계 주요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로 단숨에 도약했다”고 전했다.
사면 신청 직후인 지난 5월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는 저우가 운영하던 바이낸스에 20억 달러(약 2조9100억 원)를 투자했다. 이 거래는 바이낸스가 아닌 WLF의 자체 암호화폐로 이뤄졌으며 해당 자금은 지금도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에 예치돼 있다.
하버드대 로스쿨의 로렌스 레식 교수는 “이 거래는 미국 대통령에게 환심을 사기 위한 방식”이라며 “과거엔 정책으로 설득했지만 이제는 대통령의 기업에 돈을 넣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예치된 자금만으로도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연간 8000만 달러(약 1160억 원) 규모의 이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이 트럼프 가문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면이 보도된 후 “그가 범죄자가 아니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며 “나는 자오를 모르고 만난 적도 없지만 많은 훌륭한 사람들이 요청해 사면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CBS뉴스는 트럼프 본인의 발언과 달리 자오와 트럼프 가문 사업체 사이에 상당한 기술 및 자금 교류가 있었다는 복수의 소식통 증언을 보도했다.
헌법학자 마이클 거하트 교수는 “대통령이 가족의 사업체를 통해 이익을 얻는 구조 자체가 헌법이 금지하는 이해충돌”이라며 “대통령이 직접 관여하지 않더라도 사면과 사업이 얽히면 명백한 위헌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과 에릭 트럼프는 “대통령은 월드 리버티와 무관하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기업의 자금 구조와 사면 시점, 그리고 바이낸스 지원 내역 등이 맞물리면서 논란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 ’월가 공포지수’ 폭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806424407854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