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이재용 부회장, 미래전략실 해체…과거와 '긍정적 단절' 실천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이재용 부회장, 미래전략실 해체…과거와 '긍정적 단절' 실천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유호승 기자] 삼성이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끝나는대로 콘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을 해체한다. 삼성은 이 같은 내용을 창업주 호암 이병철 명예회장의 생일(12일)을 앞두고 발표했다.

미전실은 그룹 계열사의 사업과 경영진단, 전략기획, 인사 등을 결정하고 계획을 제시하는 곳이다. 현재 8개팀 15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삼성의 미전실 해체 결정은 조부인 호암의 뜻에 반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으나 '긍정적 단절'로 해석된다.

미전실의 시작은 1959년 이 명예회장의 비서실 조직에서 시작됐다. 이후 IMF 외환위기 당시 구조조정본부(구조본)으로 이름이 변경됐고, 2006년 전략기획실에 이어 2010년 이건희 회장이 미전실을 부활시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이 같은 행보는 ‘과거와의 단절’ 및 ‘정경유착 근절’이라는 메시지를 사회에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미전실 뿐만 아니라 호암을 중심으로 설립된 전국경제인연합회도 탈퇴한 것은 이 부회장의 '긍정적 단절' 의지를 그대로 엿볼 수 있다.

미전실 해체에 따라 삼성은 전문경영인으로 구성된 사장단협의체의 형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2008년 이건희 회장은 비자금 특검으로 모든 책임을 지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바 있다. 당시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과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 등 전문경영인으로 구성된 사장단협의체가 그룹 의사결정을 주도했었다.

이 체제는 이건희 회장이 복귀한 2010년 3월까지 약 1년8개월간 유지됐다. 2008년의 전례는 올해에도 재현될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예전부터 계열사 CEO와 이사회 중심으로 회사가 운영돼 왔다고 강조했다”며 “과거 전략기획실이 해체될 당시처럼 미전실이 해체되는 시점에 사장단협의체 체제로 전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호승 기자 y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