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주력 8대 업종의 국내 1위 기업과 글로벌 1위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경영지표를 비교한 결과, 석유화학·자동차·디스플레이·자동차부품·석유제품· 일반기계 등 6개 업종이 열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우위를 나타낸 것은 반도체와 철강 등 2개 업종뿐으로 조사됐다.
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의 매출액증가율이 16.2%로 인텔의 11.2%보다 5% 포인트 높았다.
반면, ▲석유화학(LG화학 3.0% vs 토탈 21.6%) ▲자동차(현대자동차 1.0% vs 폭스바겐 18.7%) ▲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 –5.8% vs BOE 2.8%) ▲자동차부품(현대모비스 0.1% vs 덴소 5.2%) ▲석유제품(SK이노베이션 18.1% vs 시노펙 20.4%) ▲일반기계(두산인프라코어 17.5% vs 캐터필러 18.2%) 등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증가율 면에서는 4개 업종이서 글로벌 1위 기업에 비해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부품(현대모비스 0.0% vs 덴소 -23.4%) ▲석유화학(LG화학 -24.1% vs 토탈 -41.3%) ▲철강(포스코 22.0% vs 아르셀로미탈 17.1%) ▲반도체(삼성전자 26.6% vs 인텔 21.9%) 등이었다.
이에 비해, ▲일반기계(두산인프라코어 28.3% vs 캐터필러 93.3%) ▲자동차(현대자동차 -58.9% vs 폭스바겐 1.1%) ▲석유제품(SK이노베이션 –34.3% vs 시노펙 -19.5%) ▲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 -51.5% vs BOE -40.2%) 등의 업종은 글로벌 1위 기업보다 열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