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협력사 RPA 도입..12개 협력사에 로봇프로세스자동화 도입 지원
RPA 전문가 상주해 노하우 전수
RPA 전문가 상주해 노하우 전수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협력사는 RPA를 활용해 단순업무를 줄이고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다.
LG전자는 23일 협력사에 맞는 RPA 추진체계를 구축해 올 상반기 내 12개 협력사에 RPA 도입을 돕는다고 밝혔다.
전사적인 RPA 추진체계는 교육, 전문가 지도, 실행, 사후관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협력사가 RPA 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LG전자는 협력사가 RPA를 도입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경영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협력사가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켜 업무 효율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협력사와 상생하기 위해 ▲정보화 시스템 구축 ▲스마트팩토리 구축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컨설팅 ▲무이자 자금 ▲신기술·신공법을 적용한 부품 개발 ▲무료 교육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시용 LG전자 구매·SCM경영센터 전무는 “협력사의 스마트 팩토리와 RPA 구축 등을 적극 지원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LG전자와 협력사의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LG전자와 협력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직원들이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2018년부터 RPA를 도입해왔다. 이에 따라 회계, 인사, 영업, 마케팅, 구매 등 사무직 분야에 도입한 RPA가 지난해 말 기준 1000개에 이른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