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코, ‘물적분할’ 형식으로 지주사 전환 추진··· 핵심사업 재상장 ‘NO'

공유
0

포스코, ‘물적분할’ 형식으로 지주사 전환 추진··· 핵심사업 재상장 ‘NO'

주주들이 우려했던 신설법인(포스코) IPO는 없을 예정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전문성 강화하고 신사업 기회를 발굴·육성할 계획”

포스코는 10일 지주사 전환 안건을 통과 시켰다. 사진=포스코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는 10일 지주사 전환 안건을 통과 시켰다. 사진=포스코
10일 포스코그룹의 지주사 전환 안건이 예정대로 통과됐다. 기존 소액 주주들은 인적분할 형식으로 지주사 전환이 추진되기를 원했으나 이와는 다르게 물적분할 형식으로 추진돼 주주들의 실망감이 다소 표출됐다.

다만 포스코그룹은 물적분할 되는 신설 자회사(포스코)는 비상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공언해 주주들의 불만을 잠재웠다.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 사옥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안건이 공식 논의됐으며 안건은 정상적으로 통과됐다. 다음달 28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를 거쳐 안건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번 지주사 전환의 핵심은, 바로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방식이 물적분할 또는 인적분할 중 어떤 방식으로 추진되느냐 였다.

포스코가 이달 초 처음으로 지주사 전환 입장을 밝혔을 당시 “탄소, 친환경 시대로의 대전환, 기술혁신 가속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해 미래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중장기 성장전략과 경영 지배구조 개편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즉 지주사 전환 안건은 기업의 경영 효율성 향상과 더불어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하기 위함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물적분할은 그룹의 미래 신사업 발굴과 사업, 투자 관리를 전담하는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하고,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비상장사로 물적 분할해 지주사가 100% 소유하는 구조로 추진된다.

이론적으로 이 같은 물적분할은 기존 주주들에게 피해가 없다. 왜냐하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포스코의 지분대로 포스코홀딩스의 주식을 교부받게 되기 때문이다.
다만 문제는 포스코그룹이 신설회사인 포스코를 신규상장(IPO) 했을 때다. 이럴 경우 포스코홀딩스는 말 그대로 껍데기만 남은 지주사로 인식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포스코홀딩스의 기업가치 또한 희석돼 주가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물적분할 되는 포스코를 재상장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즉 핵심사업 재상장에 따른 기존 주주가치 훼손을 방지하고, 지주사와 자회사의 주주 간 이해관계 상충 문제 발생을 차단해 비상장 자회사의 가치가 지주사 주주의 가치로 직접 연결되는 혁신 경영지배구조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포스코는 철강사의 비상장 유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신설 철강사의 정관에 ‘제3자배정, 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이로써 포스코는 기존의 ‘분할 후 상장’ 모델과는 차별화 된 글로벌 선진 지배구조 모델을 그룹에 정착시킬 방침이다.

과거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같은 경우는, 물적분할을 통해 배터리 사업부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을 별도 상장하겠다고 밝히자마자 모회사의 주가가 급락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는 핵심사업을 별도로 상장시켰기 때문에 발생한 효과다. 포스코는 이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핵심사업 부문인 철강사업 부문에 대한 재상장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포스코그룹은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의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하고, 지주사를 중심으로 각 사업들의 경쟁력 제고, 시너지 창출, 미래 신사업 발굴, 육성 등을 한층 강화함으로써 그룹의 균형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철강사업은 글로벌 탄소중립 확산으로 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 수소환원제철 기술 완성 등 친환경 생산체제로의 전환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철강 전담 사업회사의 책임 하에 저탄소 생산기술 R&D와 생산체제 전환을 주도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포스코 관계자는 “과거에도 수차례 지주사 전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과거 경험해보지 못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이야말로 경영구조 재편에 최적기라는 이사회의 공감대가 있었다”며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사업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미래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육성함은 물론, 그룹 사업간 시너지 창출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그룹의 지속가능한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