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 제네시스, 헨디와 손잡고 영국 풀에 디자인 스튜디오 설립…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현대 제네시스, 헨디와 손잡고 영국 풀에 디자인 스튜디오 설립…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폴 헨디 헨디그룹 최고경영자,(사진 왼쪽부터), 마이크 송 제네시스 글로벌 총괄, 로렌스 해밀턴 제네시스 모터 유럽 지사장.이미지 확대보기
폴 헨디 헨디그룹 최고경영자,(사진 왼쪽부터), 마이크 송 제네시스 글로벌 총괄, 로렌스 해밀턴 제네시스 모터 유럽 지사장.
제네시스는 20일(현지 시간) 헨디를 리테일(도매와 소매) 파트너로 선정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제네시스가 영국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판매를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헨디는 영국에서 200개 이상의 자동차 딜러십을 운영하는 대규모 자동차 그룹이다. 헨디는 제네시스의 새로운 스튜디오를 풀에 열고 도싯, 윌트셔, 햄프셔, 서서섹스 지역을 담당할 예정이다. 새로운 스튜디오는 2024년 초에 개장할 예정이다.

제네시스는 현대자동차의 고급 차량 사업부이다. 2015년 12월에 설립되었으며, 2016년 1월에 첫 번째 모델인 제네시스 G80을 출시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전 세계 31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제네시스는 다양한 세단과 SUV를 제공한다.

제네시스는 2020년 7월 영국 시장에 공식적으로 진출했다. 이는 제네시스가 유럽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영국에서는 G80 세단과 GV80 SUV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제네시스는 영국에 별도의 지사를 두지 않고, 유럽 본부인 제네시스 유럽(Genesis Europe)을 통해 영국 시장을 관리하고 있다. 제네시스 유럽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럽 전역에서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헨디는 영국에서 200개 이상의 자동차 딜러십을 운영하는 대규모 자동차 그룹이다. 헨디는 1896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포드(Ford), 혼다(Honda), 현대(Hyundai), 재규어(Jaguar), 기아(Kia), 랜드로버(Land Rover), 렉서스(Lexus), 로터스(Lotus), 마세라티(Maserati), 닛산(Nissan), 토요타(Toyota) 등 30개 이상의 자동차 브랜드를 대리하고 있으며 새차와 중고차, 상용차 등을 판매하고 있다. 헨디는 영국 전역에 걸쳐 7,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제네시스가 영국 판매 영토 확장을 위해 내년 초 잉글랜드 남부 도싯주에 위치한 영국에서 가장 큰 자연 항구 도시로 풀(Poole: 인구 약 15만2000명)에 새로운 스튜디오를 마련할 계획이며, 이곳에서 사우샘프턴(Southampton: 인구 약 24만7000명)과 윌트셔(Wiltshire:인구 약 51만3000명 정도), 햄프셔(Hampshire: 인구 141만명 정도), 웨스트서식스(West Sussex: 인구 약 88만5000명)에 거주하는 고객들을 맡게 되며 새로운 스튜디오는 2024년 초에 개장할 예정이다. 제네시스는 지속해서 영국 판매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제네시스와 헨디의 파트너십은 제네시스의 영국 시장 진출에 중요한 이정표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제네시스는 영국에서 판매를 확대하고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네시스 스튜디오는 제네시스의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것이다. 방문객들은 제네시스의 다양한 차량을 시승하고 구매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상반기 영국에서 10만5922대의 차를 판매하고, 시장 점유율 11.15%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에 이어 영국에서 두 자릿수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현대차는 4만6351대를 판매하고, 점유율 4.88%로 8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5만8760대를 판매하고, 점유율 6.19%로 4위에 올랐다. 제네시스는 811대를 판매하고, 작년 대비171% 증가했다.

제네시스와 헨디의 파트너십으로 제네시스는 헨디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영국에서 판매를 확대할 수 있으며 헨디는 제네시스의 고급스러운 차량과 고객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영국 고객에게 새로운 선택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