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17개 은행, 포스코 고로 지원 중단 촉구…‘탄소국경세·소송 리스크’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17개 은행, 포스코 고로 지원 중단 촉구…‘탄소국경세·소송 리스크’

시총 절반 증발·외국인 지분율도 뚝…청소년 10명도 소송 제기
포스코 CI. 사진=포스코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 CI. 사진=포스코
포스코의 온실가스 배출 확대가 국제 금융계의 강도 높은 비판을 받고 있다. 뱅크트랙은 지난 5(현지시각) "전 세계 21개 시민사회단체가 미국·유럽·호주·일본·한국의 17개 주요 은행에 포스코의 석탄 기반 고로 개수 프로젝트 자금지원 중단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은 포스코가 진행 중인 포항과 광양 고로 개수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탄소소송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뱅크트랙의 줄리아 호베니어 은행·철강 캠페인 책임자는 "포스코는 기후 행동에 진지하지 않으며, 이들에게 무조건 자금을 지원하는 은행들도 마찬가지"라며 "은행이 포스코 고로 개수에 대해 명확한 선을 긋는 것은 기후 약속에 진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말했다.

◇ 포스코홀딩스 시총 57% 급락, 전 세계 철강사 중 최대 하락률

기후솔루션이 올해 3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의 시총은 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57% 하락했다. 이는 바오우철강, 아르셀로미탈, 닛폰스틸, 누코 등 전 세계 상장 철강사 중 가장 큰 하락률이다.
포스코홀딩스의 외국인 지분율도 202250% 수준에서 지난해 말 28%까지 급락했다. 같은 기간 27개 금융기관이 포스코를 투자 대상에서 제외했으며, 그중 절반가량이 기후·환경 관련 사유였다.

글로벌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서 포스코홀딩스의 ESG 종합평가 점수는 2021년 점수가 공개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속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엔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9개 기준에서 상위 철강사들보다 평균 43점 낮은 점수를 받았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지난해 포스코의 전반적인 ESG 등급을 기존 BBB에서 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지만, 탄소 감축 목표에 대해서는 여전히 최하위 등급을 부여했다. MSCI는 포스코의 현행 생산체제와 감축 전략이 '지구 온도 3.2도 이상 상승' 시나리오에 부합하기 때문에 '1.5도 상승 제한'이라는 전 세계 목표와 격차가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 고로 개수로 15년간 13700만톤 탄소 배출 전망

환경단체들은 포스코가 현재 진행 중인 포항 제4고로와 광양 제2고로 개수가 15년간 총 13700만톤 이상의 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분석한다고 밝혔다. 뱅크트랙은 "이 프로젝트들이 최소 15년간 탄소 집약적인 제철 방식을 고착화시켜 국제 기후 목표와 금융기관들의 지속가능성 약속에 직접 반한다"고 지적했다.

포스코는 올해 광양 제2고로의 '전면 개수'에서 '부분 개수'로 계획을 변경했다고 지난달 20일 밝혔다. 전체 사업비도 2830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축소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기로 공정으로의 전환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강혜빈 기후솔루션 철강팀 연구원은 "부분 개수로 변경한다고 해서 막대한 탄소 배출 문제의 본질이 달라지는 건 아니다"라며 "고로의 수명이 손쉽게 연장돼 기후위기를 더 앞당길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해 227일에는 만 11~18세 청소년 10명이 포스코를 상대로 광양 제2고로 개수 중지를 요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는 기업의 기후 책임을 묻는 국내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포스코는 추가 경제 부담에 직면하게 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대EU 수출액 중 CBAM 대상 품목 수출액은 51억 달러(7조 원), 이 중 철강이 89.3%를 차지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철강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인증서 비용이 내년 851억 원에서 20345589억 원까지 늘어나 9년간 총 26440억 원의 재무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국제 금융기관들의 경고와 청소년들의 법정 투쟁, 그리고 CBAM과 같은 국제 규제의 강화 속에서 포스코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