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브라질, 철강수입 78% 증가하자 수입 규제조치 논의

글로벌이코노믹

브라질, 철강수입 78% 증가하자 수입 규제조치 논의

브라질철강연구소(IABr)는 제랄도 알크민 산업장관과 페르난도 해도드 재무장관에게 회의를 요청하고 지난 7월을 기준으로 연간 78%나 증가한 철강제품의 수입 규제를 위한 긴급조치를 논의했다. 브라질의 한 철공소.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브라질철강연구소(IABr)는 제랄도 알크민 산업장관과 페르난도 해도드 재무장관에게 회의를 요청하고 지난 7월을 기준으로 연간 78%나 증가한 철강제품의 수입 규제를 위한 긴급조치를 논의했다. 브라질의 한 철공소. 사진=로이터
브라질철강연구소(IABr)는 제랄도 알크민 산업장관과 페르난도 해도드 재무장관에게 회의를 요청하고 지난 7월을 기준으로 연간 78%나 증가한 철강제품의 수입 규제를 위한 긴급조치를 논의했다.

IABr에 따르면 브라질로 수입되는 철강 제품의 관세는 9.6%지만, 멕시코와 미국은 25%로 브라질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입장이다.

IABr 마르코 폴로 로페스 회장은 현재 브라질 국내 철강 시장의 수요가 약하고 수출을 늘리기가 어렵지만 수입은 유리한 환율과 낮은 국제가격, 그리고 중국산 철강 제품의 공급 초과로 인해 수입이 느는 추세다.

로페스 회장은 올해 철강 수입 예측은 461만t으로 늘려 잡았으나 이미 7월에 420만t을 넘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브라질의 통상 소비 측면의 수입 철강 제품 보급률은 CRC(냉연코일)의 경우 15.8%, HGD(용융아연도급제품)은 32%에 이른다. 알루미늄-아연코팅제품의 경우는 65.3%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철강 유통업체와 소비자는 철강 생산자가 세관 통관 후 유사한 수입 제품과 관련하여 25%의 프리미엄으로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