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전기차 판매 비중의 30%를 차지하는 독일은 지난해보다 20∼30%가량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축소한 데 이어 앞으로도 보조금 지급 규모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독일 자동차무역중앙협회(ZDK)도 내년 환경보조금 예산이 예상했던 14억 유로(약 1조9796억원)보다 약 6억 유로(약 8484억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르네 요스비히 ZDK 회장은 "실제로 내년 환경보조금 예산이 줄어든다면 독일의 전기차 증가 속도는 더 느려질 것"이라고 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거나 개편하고 있다. 영국은 올해 보조금을 완전히 폐지했고, 프랑스도 올해 말부터 차량 탄소배출량 기준을 도입하며 보조금 지급 기준을 까다롭게 개편할 예정이다.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도 보조금 혜택을 줄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전기차 보조금 혜택 금액이 감소하고 있다. 서울시 기준 지난 2018년 약 1300만원에 달하던 전기차 보조금은 올해 860만원으로 줄었다. 지급 기준도 까다로워졌다. 가격이 5700만원 미만이면 100%, 57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은 50%, 8500만원 이상은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중국도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했다. 중국의 경우 지난 2009년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해왔다. 이 정책은 지난해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부진, 전기차 경쟁 가속화 등을 이유로 연장된 바 있다. 보조금 금액도 줄여왔다. 정책 시행 초기에는 차 한 대당 최대 6만 위안(약 1086만원)까지 지급됐던 보조금이 지난해에는 1만4351위안(약 259만원)으로 줄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