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서 설비 안전점검·시설관리 등 임무 성공적 완료
어둡고 높은 온도의 특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가동
어둡고 높은 온도의 특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가동

LG전자는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포스코 광양제철소 4열연공장 지하전기실에서 실내외 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한 무인 시설관리 실증사업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로봇은 이번 실증사업에서 작업자 개입 없이 단독으로 임무를 마쳤다. 축구장 2개 이상 면적의 지하전기실에서 배수로 등을 피해 스스로 주행 가능한 경로를 찾아 순찰하고 전력케이블·변압기·리액터 등 전기실 곳곳에 위치한 각종 설비의 작동 상태를 점검했다.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사내 관제실로 보내는 등 무인 시설관리 임무 수행에 성공했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로봇에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센서를 적용했다. 로봇은 센서로 획득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주위 환경을 보다 정확히 인식함으로써 지하실과 같은 저조도 환경이나 설비 주변에 안전펜스가 설치된 곳에서도 높은 인식률을 자랑한다. 이외에도 인공지능이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해 이상 온도를 감지하면 이를 촬영해 관제실로 알림도 보낸다.
LG전자는 제철소 지하전기실과 같이 온도가 높고 고압 전력 설비가 많은 환경을 감안해 로봇의 방열 및 냉각 성능을 강화했다. 또, 모듈식으로 설계해 고객사 수요에 맞춰 순찰, 배송 등 다양한 임무로 전환할 수 있고 관제실 근무자가 로봇의 주행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LG전자와 포스코는 이번 협업을 통해 각자가 확보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기술력을 공유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제조 현장을 만드는 데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특히 LG전자는 로봇·인공지능(AI)·통신 등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고도화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로봇과 AI, 통신 등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검증하며 기술력을 더욱 고도화할 것”이라며 “지능형 자율 공장 기술로 미래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