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인협회(한경련)는 이날 추도사에서 "시대를 앞서가신 엔지니어 출신 경영자로서, 기업은 기술로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신념으로 원천기술 개발에 누구보다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며 "1971년 설립하신 효성기술연구소는 국내 최초의 민간기술연구소이자 기술경영의 상징이 되었다. 스판덱스 등 첨단 섬유의 원천기술 확보와 미래 산업의 쌀이라는 탄소섬유의 독자개발을 통해 기술 한국의 면모를 전 세계에 각인시킨 회장님의 공로를 기억한다"고 했다.
이어 "특히 회장님은 위기를 기회로 바꿔낸 '뚝심의 경영인'이셨다. IMF 외환위기 등 숯한 위기에도 굴하지 않고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하셨고 해외생산과 공급망 확대에 주력하여 오늘의 글로벌 소재 기업을 일궈냈다"며 "그동안 뿌리신 미래의 씨앗은 한국경제의 번영과 발전이라는 거목으로 자라날 것"이라고 했다. 또 "한평생 국리민복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오신 회장님의 고귀한 뜻을 받들어, 우리 경제인들은 대한민국 경제가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고인께서 강조하신 '기술 중심주의'와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효성그룹은 섬유, 첨단소재, 화학, 중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며 "또한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한미재계회의 위원장, 한일경제협회 회장 등 재계 리더로서 기업 경영환경 개선과 경제외교에 헌신하셨다"고 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강석구 조사본부장 명의로 애도의 뜻을 밝혔다. 강 조사본부장은 "고인은 기술 중시 경영의 선구자로서 우리나라 섬유, 화학, 중공업 등 기간산업의 발전에 초석을 놓았고, 미국, 일본과의 민간외교에도 적극 앞장서며 한국경제의 지평을 넓히는데 이바지했다"며 "한국경제에 큰 발자취를 남긴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임직원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