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니켈 광석 공급 차질, 페로니켈 가격 급등...중국 스테인리스강 가격 상승 부채질

글로벌이코노믹

니켈 광석 공급 차질, 페로니켈 가격 급등...중국 스테인리스강 가격 상승 부채질

니켈 광석의 공급 차질로 인해 페로니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위키피디아이미지 확대보기
니켈 광석의 공급 차질로 인해 페로니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위키피디아
최근 니켈 광석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페로니켈 가격이 급등했고, 이는 중국 스테인리스강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시장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의 정제 니켈 수출 증가가 재고를 늘리고 장기 공급을 완화시켜 스테인리스강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세관에 따르면 4월 중국의 페로니켈 수입량은 약 72만4000톤으로 전월 대비 14.27%, 전년 동기 대비 8.01% 증가했다. 1월부터 4월까지 페로니켈 총 수입량은 298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09% 증가했으나 4월의 증가세는 둔화되었다.

한편, 중국의 4월 정제 니켈 수입량은 약 7885톤으로 전월 대비 25.04%, 전년 동월 대비 146.11% 증가했다. 1월부터 4월까지 정제 니켈 수입량은 약 2만6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6% 증가하여 4월에 가속화된 성장세를 보였다.

니켈은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과 함께 이차전지 양극재의 핵심 소재로 사용된다. 배터리 용량과 출력은 양극재 소재에 따라 차이가 나며, 니켈은 에너지 밀도와 관련이 높아 NCM(니켈·코발트·망간),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등 삼원계 배터리에서 필수적인 소재다.
최근 니켈 사용처가 급증하면서 포스코그룹은 지난달 31일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과 씨앤피(C&P)신소재테크놀로지가 포항 영일만 4산업단지에 각각 니켈 정제 공장과 전구체 생산 공장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전 세계 니켈 매장량은 약 1억3000만 톤으로 추정되며, 가장 매장량이 많은 국가는 인도네시아로 약 5500만 톤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니켈 생산량 또한 인도네시아가 세계 1위를 차지한다. USG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니켈 생산량은 360만 톤이며, 이 중 절반인 180만 톤이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다. 2위 생산국은 필리핀(약 40만 톤), 3위는 뉴칼레도니아(23만 톤), 4위는 러시아, 5위는 캐나다다.

니켈은 상위 5개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78%를 차지할 정도로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가격 변동성이 크다. 2022년 3월에는 니켈 선물 가격이 톤당 10만 달러(약 1억 3,767만 원)를 넘어서면서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