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려아연 경영권 노리는 MBK, 계속되는 의혹에 우려 여전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고려아연 경영권 노리는 MBK, 계속되는 의혹에 우려 여전

MBK·영풍 공개매수로 고려아연 지분 5.34% 확보
고려아연 자사주 소각시 최대 40% 후반까지 높아져
기술유출, 중국 매각 등 여러 의혹들 여전히 존재해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선서 후 선서문을 전달하기 위해 윤한홍 정무위원장에게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선서 후 선서문을 전달하기 위해 윤한홍 정무위원장에게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MBK파트너스·영풍이 공개매수로 고려아연 지분 5% 이상을 확보하며 경영권 분쟁 1라운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지만, MBK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기술 유출 우려, 중국 업체 매각, 시세 조정 등 여러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MBK 입장이지만, 수익 내는 것을 우선시하는 사모펀드에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을 맡겨서는 안 된다는 여론은 여전한 상황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MBK 측은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진행한 공개매수로 고려아연 지분 5.34%를 추가로 확보했다. 이에 MBK 측 고려아연 지분은 기존 33.13%에서 38.47%로 늘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 자사주 공개매수가 완료되고 소각도 이뤄진다고 가정했을 경우 MBK 측 지분이 더 올라가 이번 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가능성이 크다. 시장에서는 MBK 측 지분이 최대 40% 후반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MBK를 둘러싼 의혹은 현재진행형이다. 기술 유출, 중국 업체에 경영권 매각 등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MBK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지만,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다. 향후 MBK가 고려아연 경영권을 가지게 될 경우 기업 경쟁력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려가 큰 것은 기술 유출과 중국 매각 가능성이다. 앞서 이제중 고려아연 최고기술책임자(CTO) 부회장은 "MBK 측이 고려아연을 차지한다면 핵심 기술은 순식간에 해외로 빠져나가고 산업 경쟁력은 무너질 것"이라며 투기 회사들이 돈만 놓고 보면 고려아연에서 팔아먹을 기술이 매우 많다. 몇천억짜리 기술도 있고 그런 기술이 공정마다 수백 개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고려아연은 기초 금속인 아연, 연(납) 동과 귀금속인 금, 은, 희귀금속인 카드뮴, 비스무트, 안티모니, 카드뮴 그리고 황 등을 여러 금속을 생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아연 정광을 이용한 동(Cu) 회수 방법과 동(Cu) 전해액 제조 방법은 물론 통합공정시스템, DRS 시스템, 상부침적식랜스(TSL) 공법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에 매각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이미 MBK는 여러차례 중국에 매각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업계 그리고 정치권에서는 이를 우려하고 있다. 전날 열린 국회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중국에 대한 매각 가능성은 없다고 이야기하지만 절대 그 말을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최근에는 시세 조정 의혹도 제기됐다. 고려아연 주가를 일부러 떨어뜨려 투자자들이 MBK 공개매수에 참여하도록 시장 환경을 조성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전날 고려아연은 "MBK의 공개매수 마지막 날인 14일 고려아연 주가 최고가 82만원 찍은 뒤 두 시간 만에 5% 급락했다"며 금융당국에 시세조종 행위 여부를 조사해달라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MBK는 "허위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이같은 우려에 여론은 고려아연으로 기울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고려아연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 사태와 관련해 국민 견해를 파악한 결과 MBK 측의 공개매수를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로 보고, 사모펀드 매각 시 기술 유출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