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품은 통합 SK이노베이션 1일 출범
안정적 수익성 확보와 미래 사업 투자 기대
글로벌 석유 공룡들 M&A로 미래 성장 준비
최태원 회장 "서로 간 마찰 없이 힘 합해야"
안정적 수익성 확보와 미래 사업 투자 기대
글로벌 석유 공룡들 M&A로 미래 성장 준비
최태원 회장 "서로 간 마찰 없이 힘 합해야"

3일 업계에 따르면 SK E&S를 흡수 합병한 통합 SK이노베이션이 1일 출범했다. 7월 합병 발표 이후 3개월 만이다. 자산 규모는 올해 상반기 기준 아시아·태평양 지역 민간 에너지 기업 중 최대 규모인 105조원이다. 기존 SK E&S는 SK이노베이션 내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운영된다. 'SK이노베이션 E&S'를 새로운 사명으로 사용한다. 기존 SK E&S의 '그린 포트폴리오' 4대 핵심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통합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제를 택했다는 평가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합병으로 기존 영위하던 정유, 석유화학, 배터리를 넘어 액화천연가스(LNG), 신재생에너지, 전력 등 현재 에너지와 미래 에너지 사업을 모두 아우르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 기존 SK E&S가 연간 1조원 이상의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창출하는 기반이 돼 온 만큼, 합병법인의 안정적 수익성 확보와 미래 사업 투자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는 자산 100조원 이상 글로벌 민간 에너지업체가 이 같은 사업구조를 갖춘 경우는 드물다고 평가하고 있다.
SK그룹이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을 추진한 것은 불확실한 외부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에너지 사업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이 인수합병(M&A)을 미래 준비에 나선 것과 같은 전략적 판단이다. 현재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은 M&A를 통해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실제 2010년 이후 글로벌 에너지 업계의 동종, 이종 산업 간 M&A로 후 재무구조 변화와 주가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영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석유개발(E&P)과 트레이딩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석유·가스사업 시너지가 가능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전력화 사업 추진을 통해 열관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솔루션 제공 등 통합 시너지 창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에너지 업체들은 어려운 업황을 타개하기 위해 M&A를 통해 규모를 키워왔다"며 "SK이노베이션 또한 이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도 9월 열린 울산 포럼에서 "두 회사가 다시 합쳐지면서 에너지 토털 솔루션을 차지하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