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특례법 제정 멀었나"…이재명 대표 만난 이재용 회장, 반도체 현안 논의 없어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특례법 제정 멀었나"…이재명 대표 만난 이재용 회장, 반도체 현안 논의 없어

공공 외교 강화에 대해 공감…다양한 주체들 협력해 외교적 대응 필요
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오른쪽)가 20일 서울 역삼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오른쪽)가 20일 서울 역삼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반도체산업 지원을 위한 반도체특별법이 5개월째 국회에서 표류중인 가운데 반도체산업을 대표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치권을 대표하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사상 첫 만남에도 불구하고 반도체현안이 논의되지 않았다. 두 사람의 만남으로 반도체특례법의 새로운 국면을 기대했던 업계는 실망하는 분위기다. 다만 공공외교 강화에 대해서는 의견을 같이 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SSAFY)에서 이뤄진 이 회장과 이 대표의 만남에서 반도체현안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관심이 집중된 부분은 비공개로 이뤄진 10분간의 회동이다.

회동에 동석한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와 관련한 대화는 없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약 한시간 10분가량 이 회장을 만났는데 이 자리에서 반도체현안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업계는 애초 이 자리에서 상법 개정안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반도체 특별법 등에 대해 논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와 함께 국내 반도체업계를 대표하는 만큼 이 회장과의 대화로 반도체특별법의 제정이 당겨질 가능성을 예상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업계는 연구직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 예외를 적용해줄 것을 정부와 국회에 요청한 상태다. 민주당은 근로기준법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동시간 예외 규정에 반대하고 있지만 이재명 대표가 최근 "예외 규정 적용을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입장 변화 가능성이 점쳐져왔다.

반도체 현안 논의가 없었던 대신 이 회장과 이 대표는 공공외교에 대해서는 뜻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변인은 "(이 대표가)공공외교에서 일본과 우리나라를 비교했을 때 많이 부족한게 사실이기 때문에 기업과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대응해야겠다"고 말하자 삼성측이 “개별 기업 차원의 대응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면서 외교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에 공감한다"고 화답했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오늘은 삼성이 운영하고 있는 청년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대해 현장을 살펴보고 운영되는 것들을 통해 AI 인력들을 양성하는데 민과 관이 어떻게 협력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현장에서 답을 찾고자 온 것"이라면서 "특별히 어떤 요청을 받거나 하거나 한 적은 없었다"고 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