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협상 지연 전제한 전략 필요"...과도한 우려 경계도

글로벌이코노믹

"협상 지연 전제한 전략 필요"...과도한 우려 경계도

불확실성 그대로...대미투자 확정 망설여
협상 지연으로 관세 부담 현실화 가능성도
불확실성에도 기업 활동할 여건 마련해야
관세 문제 관련 통상 한미 통상 협상이 한국 대선 변수에 흔들리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협상 지연을 염두에 둔 글로벌 시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래픽=나연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관세 문제 관련 통상 한미 통상 협상이 한국 대선 변수에 흔들리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협상 지연을 염두에 둔 글로벌 시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래픽=나연진 기자
오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20여일 앞두고 한·미 통상 협상이 변수로 부각하면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실익을 위해서는 ‘협상 지연’을 상수로 두고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고 진단했다. 우리 정부가 미국 등 글로벌 투자 계획 수립을 망설이는 기업들의 사정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측에 설명하는 한편 통상 공백 우려와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6일 글로벌이코노믹과의 인터뷰에서 전문가들은 ‘한·미 2+2 장관 통상협상’이 기존 시한인 7월 8일(줄라이 패키지)을 넘길 가능성이 커진 만큼 기업들은 협상 지연을 염두에 둔 글로벌 시장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 기능이 한 달간 마비될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이 각자도생하며 협상 지연에 대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와 기업 모두 현재 상황에서는 '협상 지연을 전제로 한 대응 전략'이 현실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며 "새 정부의 정책 기조와 무역협상은 연동돼야 하고 새 리더가 트럼프 대통령과 적극 스킨십하면서 통상 문제들을 타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는 660억 달러로 주요 교역국 중 9번째로 많다. 조선업 협력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참여를 지렛대로 관세 같은 무역조치를 얼마나 완화할지 불투명하다. 기업 입장에서는 손익과 시장 확대 등 투자 효과를 예상하기 어려워 대미 투자 계획 확정과 실행을 주저할 수밖에 없다.

통상 전쟁 속에서 겪는 기업들의 고충을 정부가 미국 통상당국에 설명해 한국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협상 내용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황 교수는 "해외직접투자(FDI)를 추진하면서도 관세 폭탄을 맞을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기업들의 부담을 미국에 설명해 특정 산업에 대한 무관세를 도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기 전략을 마련하면서도 통상 지연을 둔 과도한 불안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협상 라인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 미국 통상법에 능통한 인물들이 있어 실질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황 교수는 "한국 정부의 현재 상황은 국내 기업들의 입장에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국내 기업들에게는 올 하반기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다시 시작한다는 인식이 있기에 현재의 불확실성은 조기에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정부는 기업들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여건과 환경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