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공공, 민간 힘 합쳐야 韓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앞당겨"

글로벌이코노믹

"공공, 민간 힘 합쳐야 韓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앞당겨"

정광진 뷔나에너지 한국대표 인터뷰
정광진 뷔나에너지 한국대표. 사진=김정희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정광진 뷔나에너지 한국대표. 사진=김정희 기자
"공공과 민간의 강력한 협력이 한국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앞당길 수 있다."

정광진 뷔나에너지 한국대표는 지난 2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핵심"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3년 대비 2배 이상 높은 18.8%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를 달성하려면 민간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 대표는 일본 내 재생에너지 개발 투자 최대 사업체 중 하나인 니폰재생에너지에서 총투자책임자 겸 대표이사를 거쳐 2018년부터 뷔나에너지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뷔나에너지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재생에너지 사업 개발·발전 전문기업이다. 지난 2018년 진출한 한국에서는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을 포함한 약 0.9기가와트시(GW) 규모 4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구축한 상태다.

정 대표는 이러한 협력이 이뤄진다면 한국이 향후 해상풍력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유망한 해상풍력 시장 중 하나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산업 경쟁력, 지리적 여건, 규제 개선 흐름이 결합한 유망한 시장"이라며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과 이해관계자 간의 긴밀한 협업이 뒷받침된다면 아시아를 대표하는 해상풍력 허브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새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정 대표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의지와 해상풍력에 대한 관심을 고무적으로 보고 있다"며 "최근 정부가 규제 절차 간소화, 민관 협력 확대 등을 통해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변화는 한국 해상풍력 산업의 성장에 의미 있는 진전을 가져올 것"이라며 "인허가 절차의 간소화, 국내 공급망에 대한 체계적 지원, 지역사회와의 이익 공유 구조 마련 등이 더 강화되길 바란다"고 했다.

지난달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기후에너지부 설치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약속한 바 있다.

욕지도 해상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도 언급했다. 그는 "욕지도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기술, 환경, 이해관계자와 관련된 사전 준비 작업을 꾸준히 진행 중"이라며 "어민, 수협 등 지역사회와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있고 상호 이익 창출을 위한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해상풍력 추진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는 주민 수용성 확보에 대해선 소통을 통한 신뢰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지역사회와의 관계 구축은 프로젝트 개발의 핵심이다. 어민, 협동조합, 지방정부 등과의 소통을 통해 상호 신뢰를 형성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공동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