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개선에도 '미래 기술 고도화' 강조
무역장벽은 여전…돌파구 마땅치 않아
철강산업 직접 지원 법안 추진 나서
무역장벽은 여전…돌파구 마땅치 않아
철강산업 직접 지원 법안 추진 나서

철강업계가 업황 부진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속에서도 미래 기술 확보에 나섰다. 전기로와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 배출을 줄이고 고부가가치 강종을 생산해야 자동차와 건설 같은 전방 산업을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회에서는 철강산업 지원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됐지만 4월부터 철강제품에 매긴 50% 관세는 그대로 부과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강한 탓으로 풀이된다.
지난 2분기에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원가구조 개선 노력에 힘입어 실적 개선 성과를 냈다. 포스코그룹 철강부문의 2분기 잠정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줄어든 14조8790억원이지만 영업이익은 6100억원으로 22.7% 늘었다. 현대제철도 영업이익으로 101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3.9% 증가했다. 매출은 5조9456억원으로 1.6% 감소했다. 원료 가격 하락과 제품 판매 증가가 겹친 영향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미래 전망은 녹록지 않다. 글로벌 철강시장 침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중국발(發) 공급 과잉 문제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자국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경기부양책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난해부터 계속 나왔지만 현실화되지 않았다. 후판 등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AD) 과정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이 철강시장의 무역장벽을 높이고 있다. 유럽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을 앞두고 있다. 철강제품 생산 과정에서 배출한 탄소량에 따라 탄소세를 부과하는 것이다. 전기로나 수소환원제철 같이 탄소 배출이 적은 공정 기술을 개발하지 않으면 유럽 철강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다. 미국과 인도 등 철강산업 강국으로 부상하려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관세·비관세 강화 기조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 철강사들은 이 같은 무역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미래 투자에 나섰다. 스코그룹은 미래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저수익 자산과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고부가 제품 개발에 투입하고, 인도에서 합작 일관 제철소를 건립하는데 쓴다. 현대제철은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직접환원제철(DRI) 기술을 도입한 제철소 건립을 준비하고 있고, 포스코도 여기에 지분 투자 형식으로 합류했다.
제조업의 기반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입법기관에서도 철강산업 지키기에 나섰다. 국회철강포럼 소속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 등은 4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을 발의한다. 주요 내용은 △철강산업경쟁력강화 특별위원회 설치 △녹색철강특구 지정 및 규제 특례 부여 △인프라 확충 및 세제 지원 △녹색철강기술 개발 및 사업재편 지원 △불공정무역 대응 및 수입규제 강화 등이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