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협약·학계연구 지원으로 글로벌 친환경 전략 가속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 구현 본격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 구현 본격화
이미지 확대보기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수소를 중심으로 한 저탄소 기술협력과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통해 글로벌 친환경 경영 방향을 구체화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와의 협약을 비롯해 학계와의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지속 가능한 기술 생태계 조성과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5년 APEC 정상회의' 주간 경주엑스포대공원 내 'K-테크 쇼케이스' 행사장에서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과 '수소 중심 저탄소 기술 개발 기회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이번 협약은 싱가포르의 저탄소 경제전환 정책과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수소사업 전략이 맞물린 결과로, 수소를 매개로 한 동남아 지역 에너지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싱가포르 내 수소 발전 및 장거리 수소 운송 등 인프라 구축에 착수한다. 나아가 인접국인 말레이시아와 연계한 동남아 수소 네트워크를 조성해 생산부터 운송, 활용까지 전주기 생태계를 구현할 계획이다.
싱가포르 측도 이번 협력이 국가의 저탄소 경제 발전 전략과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EDB는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싱가포르를 혁신 허브로 육성하고, 산업 간 기술 연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는 도시국가 차원에서 에너지 전환과 지속 가능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정 회장은 이번 협약을 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확장' 전략의 실증 단계로 본다. 단순한 수소차 보급을 넘어 △발전 △운송 △저장 △활용 전 과정을 하나의 생태계로 엮어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전력발전, 해운, 항공 등 다양한 산업으로의 기술 응용을 확대하고 있다.
정 회장은 최근 '탄소를 줄이고 기술을 키우는' 방향을 그룹 핵심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싱가포르와의 협력은 글로벌 수소 전략의 확장을, 미래기술공모과제는 기술 인재와의 연대를 상징한다. 현대차그룹은 이 두 축을 기반으로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는 모빌리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같은 날 학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래기술공모과제' 접수를 시작했다. 이번 공모는 전동화,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자율주행, 로보틱스, 탄소중립 등 11개 분야에서 혁신적 연구 아이디어를 모집하며, 국내외 대학 전임 교원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선정된 과제에는 최대 6000만 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며, 약 8개월 동안 기술 타당성 검증 연구가 병행된다.
특히 그룹 연구원이 멘토로 참여해 산업 현장과의 연계 가능성을 검증하고, 우수 과제는 실제 개발 단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정의선 회장이 강조해 온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철학을 연구협력 차원으로 확장한 시도로 평가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생태계를 강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산업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보기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