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검증부터 큐브위성 발사까지…LG, 우주 비즈니스 본격 확대
계열사 기술역량 집결해 미래 우주시장 사업모델 모색
2028년 자체 큐브위성 발사 검토…R&D 인프라 기반 속도낸다
계열사 기술역량 집결해 미래 우주시장 사업모델 모색
2028년 자체 큐브위성 발사 검토…R&D 인프라 기반 속도낸다
이미지 확대보기LG사이언스파크가 우주항공청과 다시 한 번 머리를 맞대며 우주항공 산업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는 14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본청에서 두 번째 전략 간담회를 열고 우주 기술 검증 계획과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 6월 서울 마곡에서 첫 간담회를 가진 이후 넉 달 만의 재회로, LG그룹의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가 본격적인 우주 비즈니스로 확장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간담회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김민수 기술전략담당, 박태홍 글로벌O/I실장 등 LG 주요 기술 경영진이 참석했으며, 우주항공청에서는 윤영빈 청장을 비롯해 노경원 차장, 한창헌 산업국장이 함께했다. 양측은 LG가 보유한 핵심 기술과 우주청의 발사체·위성 개발 인프라를 접목해 협업 가능한 분야를 폭넓게 살폈다.
LG는 우주항공 산업 진입을 위해 기술 검증 계획을 다각도로 준비 중이다.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통신모듈 △카메라 △배터리 △가전 △디스플레이 △데이터센터 등 그룹이 보유한 기술을 집결해 우주 기반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한다는 전략이다. LG는 특히 초소형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을 자체 발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28년 발사를 목표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큐브위성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으나, 향후에는 독자적인 위성 발사를 추진해 우주 기술 내재화를 가속할 방침이다.
큐브위성은 가로·세로·높이 10cm 크기의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지구관측, 기술 검증,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우주항공청은 누리호 4차와 5차 발사에 탑재될 큐브위성을 산업계·연구기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공모·선정하고 있으며, 27일로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에는 총 12기의 큐브위성이 실려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정수헌 대표는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기원하며, LG도 해당 발사를 통해 다양한 우주 부품 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라며 "LG는 미래 시장에서 이길 수 있는 'Winning Tech'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주산업은 LG그룹이 준비해온 미래 기술 가운데 하나이며,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시장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국가 우주 기술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LG의 우주 관련 관심은 최근 들어 더욱 끌어올려지고 있다. 지난 12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협력해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우스8은 전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업체로, NASA와 KULR 테크놀로지 그룹이 추진하는 항공우주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사우스8은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해 극저온·고진동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항공우주 특화 배터리 기술 개발을 진행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6년 NASA 우주복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된 바 있으며, 우주복 운영에 필수적인 산소·통신·방사능 측정 장비 등을 구동하는 배터리 품질 테스트에서도 합격점을 받은 바 있다.
LG사이언스파크는 2023년 국내 유일의 달 탐사 로버 개발 스타트업 '무인탐사연구소'를 육성 대상 스타트업으로 선정한 이후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지원해왔다. 올해 1월에는 그룹 내 기술 경영진이 참여하는 'LG기술협의회'에서 우주산업의 미래와 기회가 논의되며, 우주 관련 협업 모델 탐색이 가속화되고 있다. 당시 무인탐사연구소 조남석 대표가 참석해 정밀 탐사 임무 수행 로버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LG 계열사와 협력 가능한 시장 기회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 항공우주 산업의 성장 속도는 글로벌 시장 전망에서도 확인된다.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우주항공 시장 규모는 2024년 4766억 달러에서 2034년 1조 121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7.86%로 추산된다. 모건스탠리 역시 2030년 5900억 달러, 2040년 1조 1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주 기반 데이터·통신·탐사 기술 수요 증가가 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된다.
LG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우주항공청과의 협업을 더욱 구체화하고, 그룹의 기술 포트폴리오를 결합한 우주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한 그룹 차원의 R&D 생태계도 우주 산업 확대에 본격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확대보기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뉴욕증시] 혼조세 속 나스닥 지수만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506411400710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