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먹거리 물가에 달린 민생경제 해법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먹거리 물가에 달린 민생경제 해법

자료: 통계청, 그래픽=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통계청, 그래픽=연합뉴스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통계청의 상반기 물가 동향을 보면 무 가격은 54%나 올랐다. 이어 보리쌀(42%)·오징어채(39.9%)·배추(27%)·김(25%)·찹쌀(23.8%) 순으로 상승률이 높다.

수산물 물가도 해수면 온도 상승 등의 영향으로 5.1%나 올랐다. 품목별로는 39.9%나 오른 오징어채를 비롯해 고등어(36%)·광어(11.3%) 등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인해 먹거리 물가는 갈수록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농수산물에 이어 또 다른 장바구니 물가지표인 가공식품 가격도 천정부지다. 이재명 대통령이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서 라면값 2000원을 거론하며 체감물가 관리를 강조했을 정도다.

식품회사들이 느슨한 정부 규제를 피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섰다는 질타인 셈이다. 실제로 초콜릿·차·양념소스 등 가공식품 가격 상승률은 20% 이상이고, 김치·커피·맛김·시리얼 가격도 10% 넘게 올랐다. 빵·소시지 등 물가관리 가공식품 73종 가운데 63개의 가격이 오른 상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식료품 가격지수는 2023년 기준 147이다.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스위스(163)에 이어 둘째로 높다. 월평균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과 외식비의 비중은 29.2% 수준이다.

먹거리에 이어 개인 서비스 물가도 오르는 추세다. 상반기 물가 상승률이 수치상으로는 2%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과 다른 모습이다. 새 정부로서는 관세 전쟁이라는 외부요인에다 먹거리 물가까지 관리해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떠안은 셈이다.

문제는 정부가 추진 중인 13조2000억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 쿠폰이다. 소비 쿠폰 발행은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게다가 미리 가격을 올리는 얌체 상혼도 기승을 부릴 수 있다.

체감물가를 잡으려면 단기적인 처방보다 수급을 해결하는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 이게 민생경제를 살리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