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소식 믿고 명의 이전해 분양권 상실
일부 주민 반발…“서울시 보상 턱없이 부족”
일부 주민 반발…“서울시 보상 턱없이 부족”

9일 방문한 회현제2시민아파트에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듯한 적막함이 감돌고 있었다. 시민아파트는 중산층을 위한 현대식 공동주택 보급을 목적으로 한 시범아파트와 달리 당시 13만 가구 넘게 불어난 무허가 주택(판잣집)을 철거하고 주민들을 이주시키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건설된 아파트다.
정부는 지난 1968년 6월 첫 시민아파트인 ‘금화시민아파트’ 공사를 시작으로 대대적으로 시민아파트를 건립했고 회현제2시민아파트도 그중 하나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아파트 철거 논의가 나왔고 서울시는 ‘2004년 이후 철거’를 밝혔지만 입주민들과 보상금 등 문제로 갈등이 생겨 불발됐다.
하지만 오세훈 시장이 취임한 뒤 아파트가 철거 쪽으로 기울었고 결국 준공 53년 만인 2023년 철거로 결정됐다.
이날 만난 박용수 비상대책위원장은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던 정부가 갑작스럽게 철거로 정책을 뒤바꾼 것에 대해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박 위원장은 “서울시가 구조보강을 하면 150년도 너끈히 버틸 수 있어 작년 봄까지만 해도 리모델링 동의서를 쓰라고 했는데 시장이 바뀌면서 서울시가 하루아침에 태도를 바꿨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전용면적 18평 주변 시세는 5억 이상 되는데 회현시민아파트의 토지가 서울시로 되어있어 서울시가 감정평가 단순 액면가인 1억6000만원 만 지급 한다고 해 난감하다” 며 "이전 리모델링 소식을 믿고 명의를 이전한 입주민들의 경우 분양권이 상실돼 나이가 많고 대출 자격이 녹록지 않은 입주민들은 당장 거리에 나앉을 판이다" 라고 말했다.
이어 “70년대에 준공 당시 주민들이 15년 동안 건물 대금을 상환했고 판자촌을 개간해 아파트를 건설할 당시 주민들도 토지 개간에 힘을 합친 대가로 서울시와 땅값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입하는 약속을 했는데 그 당시는 토지 소유가 중요하다는 지식도 부족했고 토지 매입에 아파트만큼의 돈이 들어가 흐지부지 넘어가 버렸다”며 "아파트 특성을 고려해 서울시의 융통성 있는 행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현재 이 아파트에는 30가구 정도 남아있고 서울시가 350가구를 가지고 있는데 공실로 두다 보니 방한이나 동파 관리가 제대로 안 된다”며 “집들에 사람들이 살지 않아 난방이 안 돼 어르신들이 겨울에는 외부에 나가서 살아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