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가격 접근성·정부 주택자금 대출 혜택”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된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30.2대 1로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7.4대 1)보다 약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 소형 아파트의 평균 경쟁률이 12.9대 1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년 만에 2배 이상 급등했다.
수도권에서는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 분양가가 10억원을 넘어서면서 가격 부담이 적은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거세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1순위 청약을 접수한 단지 중 전용 60㎡ 이하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160.9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처음으로 전용 60㎡ 초과~85㎡ 이하(117.4대 1)를 앞지른 결과다.
이러한 까닭에 소형 아파트는 매매 거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 중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는 총 17만6492건으로 전체의 39.2%를 차지하며, 공급 비중(27.4%)을 크게 웃돌았다.
한 부동산업계 전문가는 “소형 아파트는 가격 접근성이 뛰어나고, 정부의 주택자금 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기 쉬운 점이 장점”이라며 “직주근접을 원하는 1인 가구나 젊은 직장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 매매와 임대 수요가 꾸준하고, 재판매나 임대도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