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검토, 도면관리 등 설계 검증 전 업무 온라인 처리
이달부터 공공주택 신규 착공 지구 전 공종 대상 운영
향후 다양한 업무혁신 추진...고품질 공공주택 안정적 공급
이달부터 공공주택 신규 착공 지구 전 공종 대상 운영
향후 다양한 업무혁신 추진...고품질 공공주택 안정적 공급

12일 정부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설계검증 업무 지원을 위해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은 설계 검토용 도서 배포부터 검토 의견 등재·평가, 검토이력 추적관리 등 설계 검증 전 과정을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게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LH는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우편, 이메일 등으로 관련 업무를 처리하거나 대면 회의를 해야했으나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돼 설계 검증 검토 기간이 종전 대비 최대 30%(50일→35일) 줄어들 전망이다.
기간 단축 외에도 설계 검증 검토 의견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 신속 정확한 업무 처리 효과도 기대된다.
LH는 이달부터 공공주택 신규 착공 지구 전(全) 공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올해 LH의 사업승인·착공 합계 물량이 16만 가구 수준임을 고려할 때 약 3만 건의 설계 검증을 처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LH는 이번 시스템을 활용하여 반복되는 설계 오류 등 설계 개선 사항은 매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주기적인 설계사 교육을 통해 공공주택 설계도서의 품질수준도 높여갈 계획이다.
한편 LH는 지난해 건설기술정보시스템(COTIS) 내 온라인 설계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남양주왕숙 A2 블록 등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진행한 바 있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이번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다자간 동시 협업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대면 부담도 덜어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설계검증 업무 수행을 도울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품질 공공주택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다양한 업무혁신을 추진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