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밋 개봉 등서 시범운영 후 순차 확대
AI로 하자 분류해 수리업체에 자동 통보
하자 보수 진행률 등도 실시간 모니터링
AI로 하자 분류해 수리업체에 자동 통보
하자 보수 진행률 등도 실시간 모니터링

호반건설은 입주단지의 하자 처리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AI 기반 하자관리 통합 플랫폼인 채들을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채들은 하자 접수부터 분류, 보수 작업 등 하자 처리의 전 과정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주요 기능인 AI 채커(AI Checker)는 호반건설 오픈이노베이션팀과 홈테크 스타트업 이음이 공동개발했다.
관리자가 현장 하자를 촬영하면 AI 채커가 해당 이미지를 인식해 하자 유형을 세분화한다. 자동 분류된 하자들은 각각의 전문업체에 전달돼 보수가 진행되고 관리자는 하자 보수 진행률과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완료 일정을 입주민에게 안내할 수 있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해왔던 하자의 유형을 AI 채커를 통해 자동 분류할 수 있게 되면서 현업 부서의 반복적인 업무 부담을 줄이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나아가 집계된 데이터를 분석해 하자 처리 프로세스 개선과 품질 향상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호반건설은 이 기술을 호반써밋 개봉 등 5개 현장에서 시범 운영한 후 올해 신규 입주현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김재은 호반건설 오픈이노베이션팀장은 “현장에 최신 기술을 도입해 품질 관리가 수월해질 수 있도록 개선될 것”이라며 “현재 자체 스마트 주거 앱 호반 온을 개발 중으로 향후 AI와 결합된 입주민 주거환경개선 서비스 등 다양하게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반건설은 다양한 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드론 전문업체 코매퍼와 협업해 시공 전 과정에서 주요 결함을 사전 탐지하는 AI 영상 분석 기술을 도입했으며 지난 5월에는 호반써밋 인천검단 AB19블록 현장에서 외벽 도장 로봇의 시험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