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1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 65.9…전월 比 20p 급락

글로벌이코노믹

11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 65.9…전월 比 20p 급락

수도권 64.1…비수도권은 66.3
서울 35.1p 급락한 71.7 기록
“정비사업 지연되고 청약 위축”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0.7포인트(p) 하락한 65.9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 추이. 사진=주택산업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0.7포인트(p) 하락한 65.9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 추이.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 경기가 악화 전망이 더욱 거세졌다. 10·15 대책으로 대출규제가 강화되고 규제지역도 확대되면서 주택 사업자들의 심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0.7포인트(p) 하락한 65.9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수도권은 31.0p 하락한 64.1로 전망됐고, 비수도권은 18.5p 하락해 66.3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35.1p(106.8→71.7), 경기 32.0p(94.8→62.8), 인천 26.2p(83.8→57.6)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비수도권은 광역시가 전월 대비 16.0p 하락하면서 73.8로 전망됐으며, 도지역 또한 20.3p 하락한 60.7로 전망됐다.

이달 전국 자금조달 지수는 전월 대비 13.1p 하락한 73.4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10·15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가 확대 지정되면서 정비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수도권 청약시장 역시 강화된 대출규제로 위축되는 등 주택공급 및 분양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재수급 지수는 전월 대비 3.2p 상승하면서 96.6을 기록했다. 8월 원재료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7.5% 하락하며 5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중간재 물가 역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연구원은 “시멘트 등 비금속 자재와 철근류 가격이 전년 대비 하락하면서 자재비 부담이 다소 완화된 모습”이라며 “다만 원·달러 환율이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함에 따라, 향후 수입 자재 비용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